
(청주=국제뉴스) 이상석 기자 = 충북도는 농촌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도시농부 등 내국인과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활용한 맞춤형 농촌일손지원 체계를 강화하고, 현장의 목소리에 신속히 대응하는 적극행정을 이어가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전국 최초 도농 상생형 일자리 정책인 ‘충북형 도시농부 사업’은 4만7000여 명이 등록했고 2만 농가가 참여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도시농부들의 숙련도가 높아지면서 꾸준한 홍보로 참여가 확대되어, 올해 연인원 23만 명이 농가 일손을 도왔다.
또한 도내 9개 시군에서 운영 중인 농촌인력중개센터는 영농작업 전문반을 중심으로 인력풀을 확대해 과수·밭작물 농가에 5만6000여 명의 인력을 지원, 안정적인 인력 수급에 기여하고 있다.
올해 충북에는 1545농가에 4672명의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배정되어 전년 대비 18.6% 증가했으며. 사전교육, 주거환경 점검, 임금체불 예방 지도 등을 통해 무단 이탈을 낮췄으며, 최근 5년간 평균 1.1%로 전국 평균(2.5%)보다 낮아, 전국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에는 0.3%에 그쳤다.
특히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을 도내 5개소에서 운영해 4000여 농가에 1만4000여 명의 인력을 지원했다.
도는 가을철 수확기 집중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농촌 인력 지원사업 간 연계를 통해 필요시 신속하고 유동적으로 인력을 지원할 계획이다.
강찬식 충북도 농업정책과장은 “농촌 인력난 해소는 단순히 농가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것을 넘어 지역 농업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과제”라며 “도시농부 사업과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를 병행해 균형 있는 인력 지원을 추진하고, 근로자의 안전과 농가의 편익 증진을 위해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현장의 어려움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적극행정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이상석 기자
z1z1009@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