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대기 국제포럼서 '기후정책' 페이스메이커 역할 강조..."경기기후위성 11월 발사"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일 도청에서 열린 '청정대기 국제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일 도청에서 열린 '청정대기 국제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청

(수원=국제뉴스) 김만구 기자 = 김동연 경기지사는 2일 “경기도의 경험과 데이터를 아낌없이 중앙정부와 국제적으로 나누면서 세계의 기후행동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이날 도청에서 개막한 ‘2025 청정대기 국제포럼’에서 “지난 3년 동안 대한민국은 기후문제에 퇴행적인 정책과 조치를 취했던 가운데 경기도는 꿋꿋하게 기후위기를 대처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였다.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지난 3년 동안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견인했다”고 주장하는 개회사를 통해서다.

도 주최로 3일까지 열리는 이번 포럼에는 경기도의회, 유엔환경계획(UNEP), 국제연합(UN)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 국제대기환경단체연합(IUAPPA), 이클레이(ICLEI), 세계보건기구(WHO), 우호협력 동아시아 지방정부 등 7개국과 기후행동 청소년 활동가 등이 참가했다.

김 지사는 “2023년 경기 RE100 선언을 하면서 이중 공공 RE100으로 내년 초까지 산하 공공기관 28개에서 신재생에너지로 모든 에너지를 보급하겠다고 약속했다”면서 “그 약속을 앞당겨서 빠르면 올해 말 도청과 모든 공공기관은 신재생에너지를 공급받는 RE100을 달성할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공공부문 RE100은 최초로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민들이 에너지 절약 같은 것을 체화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기후행동 기회소득을 만들기도 했다”며 “150만명 이상이 앱에 가입했으며 지난 1년간 이를 통해 저감된 온실가스는 나무 약 245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지난해 포럼에서 발표했던 기후위성, 기후보험, 기후펀드 추진 상황도 설명했다.

그는 “광역지자체 최초로 경기기후위성은 11월 말 발사를 목표로 차질 없이 준비 중이고, 기후펀드를 만들기 위해 올해 상반기까지 발전소 후보지 선정을 마쳤다”고 했다.

이어 “기후보험은 시행한 지 4개월이 됐는데 6천500건의 보험금을 피해 도민들에게 지급했고, 그중에 91%가 기후취약계층이었다”면서 “기후위기에 잘 대응하는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간의 격차(기후격차)를 줄이기 위한 건강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재천 교수 강연과 발표, 토론이 이어졌다.

둘째날인 3일에는 기업과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대기오염물질(오존 등) 감축을 위한 특별세션과 특별강연, 미세먼지 사진전 등이 열린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