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체육·청소년시설 접근성 문제 집중 질타… “선제 행정 없이는 반복될 뿐”
동해시 최수정 체육과장 “수련관 등 시설 개선 계획 마련…예산 확보에도 노력”

사진=동해시의회  정동수의원
사진=동해시의회 정동수의원

(강원=국제뉴스) 고정화 기자 = 동해시의회 정동수 의원이  13일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 이동권 확보와 청소년 체육시설 개선을 집중 질의하며, 동해시 체육행정 전반의 구조적 전환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장애인이 전동휠체어를 타고 시의회 2층 본회의장조차 오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는 단순한 시설 미비가 아닌, 시민의 기본권이 구조적으로 제약된 상태"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수직형 휠체어리프트는 더 이상 실효성이 없다"며, 공공시설 전반을 전동휠체어 기준으로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청소년 체육시설의 장애인 접근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정 의원은 "청소년문화의집이나 상담복지센터처럼 구조상 개선이 어려운 곳은 예외로 하더라도, 수련관 등은 리모델링 공모 시 외부 엘리베이터 설치 등을 반드시 반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동해시에서 장애인 접근이 가능한 주요 체육시설은 4곳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제가 계속 문제 제기를 하는 이유는 단 하나, 잊히지 않게 하기 위함"이라며, "잊혀지는 순간 정책도 멈추고, 개선은 사라진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체육지도자 증원 문제를 둘러싼 구조적 한계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최수정 체육과장은 "해당 인력은 시군 단위에서 배정되는 것이 아닌 도 체육회 중앙 통제하에 이뤄지고 있으며, 현재 공석이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외부 강사를 활용한 단기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 의원은 "결원이 없다고 그대로 멈춰 있으면 결국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며, "지역 수요를 수치화하고 주도적으로 요구하는 전략"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청소년 정책 관련해서는, 최근 여학생 비중이 높아진 인구 추세를 반영해 "성별 특화 프로그램 및 정서·건강·성교육 중심 콘텐츠를 기획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심리치유형 힐링공간·창작공방 등 타 지자체 사례의 도입 검토도 제안했다.

끝으로 정 의원은 "행정은 단기적 대응을 넘어, 전담조직 구성과 인력 충원 같은 구조 개편으로 가야 한다"며 "현장성과 실효성 중심의 복지정책이 동해시 정책의 표준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