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
"컨트롤타워 실질적 집행력과 예산권 가지고 인구 대응문제 나서야"
초고령 사회 정책 컨트롤타워인 고령사회대응관 신설 제언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홍인숙)는 24일 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사진=제주도의회]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홍인숙)는 24일 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사진=제주도의회]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의 저출생·고령화대책과 관련 실질적인 집행력과 예산권을 컨트롤타워로 집중·강화해 적극적인 인구문제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홍인숙)는 24일 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최종보고회는 ‘제주특별자치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과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 등 지난 1월부터 특별위원회에서 추진 중인 두 건의 연구용역에 대하여 진행했다.

‘제주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은 교육과 복지연구소 眞(대표 진은설),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은 제주연구원 제주고령사회연구센터(센터장 김재희)에서 담당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 최종보고에서 김홍철 책임연구원은 저출생과 고령화 대응을 위해 컨트롤타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컨트롤타워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해 적극적인 인구대응 문제에 나서야 한다"며 "제주의 경우 올해 초 인구정책담당관을 신설했으나 각 부서별로 흩어진 인구정책은 연계성과 실행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또 결혼부터 임신, 출산, 육아 지원을 위한 정보가 파편화돼 있어 정확한 정보제공 및 실시간 질의응답이 가능한 플랫폼 구축과 관련 교육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외에 저출생 대응 정책의 구체적 시행을 위한 지원사업 개발과 조례 제정, 난임치료의 실질적인 지원 강화, 조부모 돌봄수당 지원 필요성 등을 함께 언급했다.

김재희 센터장은 제주지역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건강, 사회역할, 노후소득, 노년기 인식 등 4대 영역으로 구분해 지역 현실에 맞는 정책 방향과 과제 발굴 제언을 했다.

이를 위해 김 센터장은 "초고령사회의 사회적 변화를 통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담당 부서가 필요하다"며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 컨트롤타워인 고령사회대응관 신설 등을 제언했다.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 홍인숙 위원장은 이번 연구용역이 제주지역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 홍인숙 위원장은 이번 연구용역이 제주지역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홍인숙 위원장은 "두 건의 연구용역이 제주지역 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제주를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