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까지 올해 첫 도정·교육행정 질문 추가경정예산안 심사
송창권 의원을 시작으로 이정엽·이승아·고태민 의원 등 8명

7일 제주도의회는 제 43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송창권 의원의 2025년 상반기 도정 질문을 시작으로 이정엽 의원, 이승아 의원, 고태민 의원, 김승준 의원, 강경문 의원, 강상수 의원, 강하영 의원, 8명의 의원이 도정 질의에 나섰다.[사진=제주도의회]
7일 제주도의회는 제 43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송창권 의원의 2025년 상반기 도정 질문을 시작으로 이정엽 의원, 이승아 의원, 고태민 의원, 김승준 의원, 강경문 의원, 강상수 의원, 강하영 의원, 8명의 의원이 도정 질의에 나섰다.[사진=제주도의회]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도의회가 지난 4일 제437회 임시회를 개회하고 오는 23일까지 올해 첫 도정·교육행정 질문과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 돌입했다. 

7일(오늘)부터 사흘간 제주도를 상대로 도정 질문을, 10일부터 이틀간 제주도교육청을 상대로 교육행정 질문을 실시한다.

이날 제주도의회는 제 437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열고, 송창권 의원의 2025년 상반기 도정 질문을 시작으로 이정엽 의원, 이승아 의원, 고태민 의원, 김승준 의원, 강경문 의원, 강상수 의원, 강하영 의원, 8명의 의원이 도정 질의에 나섰다.

송창권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이호동·외도동·도두동)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제주 장기요양요원 처우개선과 인력 운영의 과제와 관련해 지역 간 돌봄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한 인력 수급 대책 마련 방안은. 교통 정책 관련 차고지증명제 제도 개선 이후 정책 추진 방향은. 기초자치단체 부활 관련 정책 계획에 대해 질의에 나섰다.

▲이정엽 의원(국민의힘, 서귀포시 대륜동)
중문골프장 매입을 포함한 중문관광단지 활성화 계획은.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따른 선거구 획정 추진을 위한 도정의 대응 방향은.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정책적 결단과 계획은.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의 현실성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점검 방안은.

▲이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오라동)
2025년 제1회 추경안 관련 제주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단기적·장기적 해결 사항은. 장기화하는 지역 경기 침체를 타개할 도정의 계획은. 제주 로케이션 유치사업이 관광자산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행정지원 계획은. 주택 시장 안정화 및 미분양 주택 해소 방안은.

▲고태민 의원(국민의힘, 제주시 애월읍갑)
계속비 및 장기계속계약 64개 사업장·1660억원 규모 공사 중지 관련 현황과 대책은. 종합스포츠타운 ‘8000억원대 사업 민자유치’ 실현 가능성은. 서부지역 복합체육관 및 애월읍·한림읍·한경면 등 파크골프장 추진 대책은. 제주들불축제 논란에 대한 견해는

▲김승준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한경면·추자면)
도내 어선어업 경영난 등 도산 위기에 따른 대책 방안은. 청년 농업인 농지 확보 관련 국·공유지 농지 활용 청년 농업인 장기 임대 방안 및 ‘농지 선임대 후매입’ 제도 확대 필요성에 대한 견해는. 도민 연료비용 절감 관련 도내 도시가스 공급 확대 방안은.

▲강경문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이용 및 일반(성인) 버스 요금 정액제 도입에 대한 견해는. 교통 정책 관련 S-BRT 진행 현황과 향후 계획은. 수소트램 도입 입장과 향후 추진 계획은. 균형발전 및 도시·마을 활성화 관련 폐교·교육자산 연계 교육·주거 공간 마련에 대한 견해는.

▲강상수 의원(국민의힘, 서귀포시 정방동·중앙동·천지동)
관광 위기 대응을 위한 맞춤형 콘텐츠 전략 관련 무장애관광 인프라를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 계획은. 서귀포시 하논분화구 보전·활용 관련 핵심구역 사유지 매입 계획은. 도내 15개 현청에 대한 복원 방안 마련은. 행정동 통 구역 조정 필요성에 대한 견해는,

▲강하영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
출생률 감소로 인한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집 전환 및 활용 계획 등 보육시설 운영·지원 대책은. 난임 정책의 한계와 불균형 해결 방안에 대한 견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먹깨비 가맹점 확대 필요성 및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확대 방안은.

한편, 도정질문 둘째 날인 8일에는 한동수 의원, 원화자 의원, 현기종 의원, 강동우 의원, 박호형 의원, 홍인숙 의원, 김기환 의원, 7명이 도정 질문에 나선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