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범체육시민총연합 발대식 및 기자간담회가 개최됐다.(사진=범체육시민총연합 제공)
9일 오전 범체육시민총연합 발대식 및 기자간담회가 개최됐다.(사진=범체육시민총연합 제공)

(사회=국제뉴스) 김학철 기자 = 대한체육회의 차기 회장을 선출할 예정인 제42대 체육회장 선거가 가처분 신청으로 인해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번 선거를 둘러싼 불공정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1월 10일 열리는 가처분 신청 심리 결과에 따라 선거 일정에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제기 되고있다.

가처분 신청은 일부 후보와 선거인단 구성의 불공정성을 이유로 제기됐다. 강신욱 후보(단국대 명예교수)를 포함한 일부 관계자들은 선거인단 구성 및 투표 절차의 투명성 문제를 지적하며 “현행 시스템은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고, 특정 인물에 유리하게 설계된 구조"라고 비판했다.

범체육시민총연합은 일반 체육단체 및 역대 체육회 구성원의 목소리가 배제되는 구조라며 선거 당일 투표 시간과 장소가 과도하게 제한돼 선거 참여가 어려운 점을 지적했다.

법원은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1월 10일 가처분 신청에 대한 심리를 열고 선거를 중단할지에 대한 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축구협회장 선거의 사례처럼 이번에도 가처분이 인용될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범체육시민총연합(이하 시민연합)의 출범은 이기흥 현 체육회장의 행보에 강한 반발을 제기하고 있다. 시민연합은 이 회장의 갑질, 채용비리, 횡령 등 여러 비리 의혹을 강도높게 비판하며 3선 연임 시도에 강하게 저항하고 있다.

시민연합은 이번 선거를 “민주주의 실현과 제왕적 체육회장 구조를 종식할 기회"로 규정하며 선거제도의 투명성과 체육인의 참여 확대를 요구했다. 특히 “17개 광역지자체의 분산 투표와 모바일 전자 투표가 병행되어야 한다”며 열린 행정을 통한 공정한 선거 모델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수의 언론에서는 가처분 신청이 인용될 경우 선거 일정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는 축구협회장 선거에서도 가처분 신청이 인용된 사례를 떠올리게 한다. “선거 제도로 인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으며 조정 과정 중 일정 연기가 매우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보도되고 있다.

시민총연합의 출범은 체육 행정의 민주화와 체육민주주의 회복이라는 시민연합의 외침과 이를 둘러싼 법원의 결정에 따라 체육계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체육회의 대응과 법원의 결정이 체육계 전반의 구조적 개혁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