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국가 주도 산업정책 마련 필요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현실적이고 가까이 있는 수단은 해상풍력

포럼에 참여한 관계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기후변화센터]
포럼에 참여한 관계자들이 단체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제공=기후변화센터]

(서울=국제뉴스) 김서중 기자 = 글로벌 탄소무역 장벽이 강화되는 가운데 국가 주도의 산업 정책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산업을 적극 육성할 시점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재)기후변화센터(유영숙 이사장, 前 환경부 장관)는 지난 31일 '해상풍력산업 진흥과 22대 국회의 역할'을 주제로 제1회 해상에너지산업체포럼을 개최했다. 미래에너지정책연구원 전력포럼, 해상에너지산업체포럼, ㈜에너지와공간과 공동으로 개최한 이날 행사에는 국내 주요 공급망 기업 및 전력시장 관계자들이 참여했으며, 이날 개진된 다양한 의견들은 제22대 국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포럼에 참여한 기업 관계자들은 "늦기 전에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을 선제적으로 지원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역할을 할 수 있게 국가 차원의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날 행사에서 (재)기후변화센터 김창섭 공동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현재 가장 현실적이고 가까이 있는 수단은 해상풍력이라고 생각한다"며, "타이밍을 놓치기 전에 정부와 국회가 하루빨리 산업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발제를 맡은 김윤성 해상에너지산업체포럼 공동대표(에너지와공간 대표)는 글로벌 무역환경과 에너지 시장이 급변함에 따라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차원의 산업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김 대표는 해상풍력 산업 지원 정책의 방향으로 ▲투자세액공제 확대 ▲일자리 창출 지원 ▲수출금융 지원 해상풍력 포함 ▲입찰 시 일자리 창출 비중 강화를 제안했다.

이어 "한국은 해상풍력 건설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해상풍력 산업 진흥과 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을 동시에 펼쳐야 하는 과제가 있기에, 22대 국회에서 혁신적인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김순종 SK오션플랜트 센터장은 한국과 대만의 해상풍력 정책을 비교하며 보급계획, 인허가, LCR, 전력 계통에서 국내 정책의 미흡함을 지적했다. 또한 유럽의 그린딜, 미국의 IRA, 대만의 LCR 규정을 사례로 들면서 ▲국산 부품 세제 혜택 마련 ▲해상풍력 국가전략기술 선정 ▲인프라 투자 지원 확대가 국내에 도입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채영우 HD현대 책임매니저는 영국 정부의 해상풍력 시장 운영 방식과 항만 인프라 지원 제도를 소개하며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정책의 일관성과 정부 주도의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의 경우 공급망이 국내에 이미 존재하는 강점이 있기에 정부 차원의 노력뿐 아니라 산학협력 가교 기관의 역할도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했다.

기후변화센터 관계자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제도 개선과 동시에 국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속한 국가 주도 해상풍력 산업 지원 정책 마련을 위해 기업들의 의견을 모아 22대 국회에 전달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공급망 지원을 위해 관련 업계가 교류할 수 있는 자리를 꾸준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