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 국가산단 클러스터로 지정, 국방산업도시로 발돋움
- 환경영향평가 실시, 매장문화재 조사는 관련법에 해당되지 않아,

(논산=국제뉴스) 김태수 기자 = 논산시는 최근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이하 KDI)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하여 해당지역 일부 주민들이 제기한 안전성 문제 및 졸속행정 이라는 주장에 대해, 시민들에게 정확한 사실을 전달 해야 할 필요성을 갖고 지난 28일 김영민 투자유치과 과장과 KDI 관계자의 기자 브리핑을 가졌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김영민 투자유치과장 "일부 주민의 문제 제기에 관해 시민의 목소리라 생각해 충분한 설명을 준비했으나, 주민을 위한 사업 설명회 자체가 몇몇 사람에 의해 무산되는 일이 벌어졌다”며 "설명을 듣지 못한 주민들에게 올바른 사실을 알려드리고자 기자 브리핑을 열게 됐다”며, 지난 22일 양촌면 행정복지센터에서 KDi 일반산업단지 조성 추진과 관련해 합동 주민설명회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현장에는 설명을 듣고자 하는 주민들이 모였으나, 일부 반대 주민의 고성과 비난 등으로 설명회 자체가 무산된 바 있다고 밝혔다.
또한 개별공장설립 및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해 현행법령에서 요구하는 절차나 기준을 준수해 행정절차를 진행했으며 매장문화재 조사,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역시 절차에 따랐으며 안전성, 위험성, 졸속행정 등 유치와 관련한 항간의 소문에 대해 "사업주의 신청에 따라 관련법을 검토한 후 10여개 부서의 개별법 검토를 거쳐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KDI가 생산예정인 ‘천무’는 신관, 탄두, 추진체를 나누어 생산하고 있으며 논산공장에서는 탄두만 생산한다”고 언급하고, "천무가 확산탄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기업측은 기존과 달리 전자자폭장치와 자동불능화장치 등이 포함된 개량된 기술을 사용해 비인도성을 최소화 했으며 이로 인해 국제협약에서 언급한 엄밀한 의미의 확산탄 정의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어 "KDi 관련회사인 KDs가 유령회사 또는 페이퍼컴퍼니라는 주장에 대하여 현재 논산시 취암동에 본사를 두고 25명 정도의 직원이 근무하는 정상적인 회사”라고 해명했다.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 환경에 관련해서는 "조립공장에서 유해가스 배출업종을 제한해 대기오염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계획했으며 폐수는 전문업체에 전량 위탁해 처리하고 소음은 환경기준에 만족할 수준”이며 환경영향평가와 관련 "동식물상 현황조사를 3계절 실시했고 대기‧악취‧위생공중보건과 관련된 현황조사를 2회 실시 후 환경영향평가 준비서를 작성했다”며 "환경영향평가협의회에서 ‘준비서’와 관련 대기질 조사지점 1개, 위해성 관련 항목 3개를 추가해 각각 2회 추가 조사토록 결정했다”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영향평가 초안’이 작성되었으며 주민의견수렴과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초안이 본안으로 확정되어 환경청과 최종협의를 통해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된다”고 밝혔다.
이와 아울러 논산시는 그동안 방산기업 KDi, 국방미래기술센터 유치, 국방국가산업단지 26만평 국토부 승인, 74만평 규모의 자체 국방군수산업단지 조성 추진, 풍산FNS500억 신규투자유치등 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지난 26일 윤석열 대통령은 "충남민생토론회"에서 "논산을 국가산단 클러스터로 지정하고 계획단계부터 기업이 필요한 시설을 완비하도록 하겠다고 강조 했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gukjenws@hanmail.net
김태수 기자
ssangyong1989@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