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학력에 대한 공감도(73.4%), 교육감 소신 있는 일 추진(61.9%)

(전주=국제뉴스) 이승희 기자 = 전북교육정책연구소는 전북도교육청의 교육정책 및 현안 사항에 대한 전북도민의 여론을 수렴해 전북교육정책 방향 설정을 위한 여론조사를 했다.
전문여론조사기관((주)한길리서치)에 의뢰해 6일간(6.11~6.16)에 걸쳐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유선)면접조사 방식으로 전북교육정책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 이다.
전북교육정책 여론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북도민들의 교육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77.3%로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층에서는 92.4%로 특히 높게 나타났다.
전북도민들은 전북교육청이 잘하고 있는 교육정책(복수응답)으로 친환경 무상급식 및 교육복지를 통한 교육비 경감(51.0%)을 가장 잘하고 있는 교육정책으로 답했다.
그 다음으로 교육비리 척결 등 교육청렴도 개선(26.4%), 안전한 학교 조성(25.4%), 농어촌 작은 학교 및 원도심 학교 살리기(23.2%), 혁신학교 및 학교혁신, 교육혁신특구(16.7%), 학생인권존중(14.6%), 참된 학력 신장 추진(8.5%) 순으로 답했다.
교육 정책이나 사업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지수점수(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전북교육청의 교육정책이나 사업에 대해 모두 평균점수(3점) 이상 만족하고 있었다.
추진 사업별 만족도 평가는 다음과 같다.
- ‘교육비 경감’ 만족도(3.66점) : 불만족(9.7%) 대비 만족(61.5%)이 6.3배 높게 나타남.
- ‘학교 살리기’ 만족도(3.53점) : 불만족(11.8%) 대비 만족(54.1%)이 4.6배 높게 나타남.
- ‘청렴도 개선’ 만족도(3.52점) : 불만족(12.5%) 대비 만족(52.4%)이 4.2배 높게 나타남.
- ‘등교시간 늦추기’ 만족도(3.33점) : 불만족(25.1%) 대비 만족(48.3%)이 1.9배 높게 나타남.
- ‘학생인권 존중’ 만족도(3.27점) : 불만족(19.9%) 대비 만족(43.1%)이 2.2배 높게 나타남.
- ’교육 혁신’ 만족도(3.39점) : 불만족(8.4%) 대비 만족(36.5%)이 4.3배 높게 나타남.
전북도민들은 전북교육청의 교육 정책이나 사업추진 방향에 대한 적절성 평가에서 적절하다는 평가는 67.3%, 전북교육청의 참된 학력에 대한 공감도 평가에서 공감한다는 응답은 73.4%, 교육감의 소신 있는 일 추진에 대한 그렇다는 평가는 61.9%로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했다.
전북도민들은 향후 전북교육청이 집중해야 할 것으로,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19.8%), 진로직업교육강화(19.6%)를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은 참된 학력 신장(16.6%), 사교육비 절감(13.7%), 교사들의 수업 역량 강화(13.0%), 민주시민교육 및 학교자치 강화(9.8%), 지역사회와의 협력(2.6%) 순으로 들었다.
전북도민들은 전북교육청이 교육행정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데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교육 예산부족을 24.2%로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은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소통부족(17.7%), 관료주의적 교육행정(16.8%), 교육부의 지나친 간섭(16.0%), 도의회 및 지방자치단체와의 소통(10.0%) 순으로 들었다.
한길리서치는 금번 여론 조사 결과에 대해 전북교육의 전반적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교육혁신, 학생인권 존중, 등교 시간 늦추기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자문했다.
실제 교육정책이나 사업에 대한 평가가 저평가되고 있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북 도민 전체 홍보와 별개로 비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차별화된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효율적인 교육행정을 위한 지역사회 및 지방자치 단체와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승희 기자
asisur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