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도시철도 2호선 차량시스템이 수소트램으로 확정됐다.
7일 대전시에 따르면 수소트램은 차량 내 수소탱크에 저장된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화학반응으로 만들어진 전력을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급전·변전시설 등 외부 전기 공급설비가 필요치 않아 완전 무가선 방식으로 주행할 수 있다.
차량 제작은 완료된 상태이고 충북 오송에 위치한 철도종합시험선로에서 성능평가도 마쳤다. 현재 울산 시험선에서 시험운행 중이며 내년부터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트램 도입 결정에 따라 대전시는 현대로템에서 제안된 수소트램의 차량 가격 및 제원을 기준으로 현재 진행 중인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차량 부문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작성할 예정이며, 최종 사업자 선정(트램차량 제작업체)은 향후 공개경쟁입찰로 결정된다.
수소 1회 충전으로 227㎞ 주행 성능을 갖추고 있어 대전의 38.1㎞ 장거리 순환 노선에서도 가장 안정적으로 무가선 운행이 가능하다.
정거장마다 별도의 고압 충전 시설이 필요한 배터리 방식과 달리 안전사고 위험이 없고, 주행에 필요한 전기를 자체 생산함으로써 도로 침수, 결빙 등 외부 환경에 따른 운행 제약이 없는 것도 큰 장점으로 평가됐다.
또 궤도만 부설되면 운행이 가능해 장래 노선 확장이 필요한 경우 큰 비용 없이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점도 높게 평가됐다.
한편 트램은 총연장 38.1㎞, 정거장 45개소, 차량기지 1개소를 포함한 5개구 순환선으로 내년 착공된다. 개통 목표 시점은 2028년으로, 1조 4091억 원이 투입된다.
관련기사
박준민 기자
yongdsc@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