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강식 및 1회차 '한성백제토기 제작기술 복원연구'' 주제 강의

(충주=국제뉴스) 김상민 기자 = 충북 충주박물관(관장 정선미)은 6일 오후 2시 ~ 5시 충주세계무술박물관 2층 강당에서 '역사 속 과학기술'이란 주제로 박물관 대학 개강식 및 1회차 강좌를 진행했다.
지난 2009년 처음 개설한 박물관대학은 지역민들의 역사·문화·예술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식 향유권 충족을 위해 다년간 다양한 주제를 선정해 운영 중이다.
올해 첫 강의는 남상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가 한성백제토기 제작기술의 복원과정을 주제로 강연했다.
강의는 토기의 의미와 연구 방법, 제작기술 복원을 위한 고고·과학적 연구와 기술 등의 내용으로 진행됐다.
강의는 내달 25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2~5시까지 탄금공원 내 충주세계무술박물관 강당에서 진행된다.
올해 박물관 대학 프로그램은 △우리 역사 속 하늘 탐구와 천문학의 성장쇠퇴 일대기(김일권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풍수지리의 등장과 경관의 형성(김두규 우석대 교수) △지도에 담은 문화유산(강동석 동국대 교수) △1600년 전 충주 대장장이 이야기(한지선 국립문화재연구원 학예연구사) △검안(檢案)으로 보는 조선의 과학수사(김호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교수) △조선 중기의 화기(火器)발달과 화기혁명(노영구 국방대 교수) △세상을 바꾼 금속활자 인쇄 기술과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라경준 청주고인쇄박물관 학예연구실장) 등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8회의 강의가 끝난 후 수료생을 대상으로 국내 답사도 1회 진행된다.
정선미 박물관장은 "충주박물관대학 강좌를 통해 우리 역사 속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조명하고, 그 속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를 살피는 유익하고 뜻깊은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김상민 기자
ksm304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