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13회 제주도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임시회
피해액 산출 규모 제대로 안 돼…피해 대책 미흡 지적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올해 6~7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방류할 예정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도정의 대응 및 피해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속개된 제413회 제주도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임시회에서 제주도 해양수산국 등으로부터 주요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날 의원들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한 피해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들이 쏟아졌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28일 제413회 임시회를 속개, 제주도 해양수산국 등으로부터 ‘2023년도 주요 업무 보고’를 받은 가운데 고태민 의원(사진 좌)과 강연호 위원장(사진 우)가 질의하고 있다.[사진=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28일 제413회 임시회를 속개, 제주도 해양수산국 등으로부터 ‘2023년도 주요 업무 보고’를 받은 가운데 고태민 의원(사진 좌)과 강연호 위원장(사진 우)가 질의하고 있다.[사진=제주도의회 제공]

고태민 의원(국민의힘, 애월읍갑)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도지사 업무 보고에서 이와 관련 한 글자라도 들어가야 할 것 아니냐"며 "주요 업무보고에서 한 마디도 언급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강연호 의원(국민의힘, 표선면)은 해양수산국을 향해 "올해 가장 중요한 현안이 무엇이냐"며 “주요업무보고 첫 자리에 오염수 방류 관련한 대책들이 나올 것으로 봤는데 그게 아니었다. 그마저도 단 몇 줄 나와 있는데 그쳤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재난문자 같이 도민과 관광객에 수산물 방사능 검사 등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해양수산부에서 수산물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마련 중인데 이보다 더 강화된 제주도 차원의 매뉴얼 수립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수산물 안전안심 알림이 서비스도 도입을 준비 중에 있다”고 답변했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제주도의 대책이 미흡한 것과 관련 날선 지적들이 이어졌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28일 제413회 임시회를 속개, 제주도 해양수산국 등으로부터 ‘2023년도 주요 업무 보고’를 받은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승준 의원과, 박호형 의원, 강성의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사진=제주도의회 제공]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가 28일 제413회 임시회를 속개, 제주도 해양수산국 등으로부터 ‘2023년도 주요 업무 보고’를 받은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승준 의원과, 박호형 의원, 강성의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사진=제주도의회 제공]

김승준 의원(더불어민주당, 한경면·추자면)은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방류시 수산물 소비지출은 평균 49%, 관광지출은 29%가량 줄어들어 수산물 소비만 약 4,500억원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관광, 서비스업도 마찬가지로 음식점까지 제주 전역에 파급효과가 너무 클 것 같은데 4,500억원 정도만 피해를 보겠느냐”고 따져 물었다.

박호형 의원(더불어민주당, 일도2동선거구)은 “도정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대응을 위해 118억원을 확보했다고 발표하였지만, 이중 수산물수급가격안정기금이 100억원이다”라며, “이는 기금지출이 38억원인데도 불구하고 나머지 62억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강성의 의원(더불어민주당, 화북동)은 “현재 자체적으로 도차원에서 바닷물과 관련해서 방사능 오염수에 대한 조사는 없는 상황이다”라며, “해양수산연구원에서 방사능 오염수 조사에 대한 정보를 어업기관관련 유관기관과의 적극적으로 정보공유가 필요하다”라고 감시체계를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채절 도 해양수산국장은 "제주도 전역의 파급 효과를 용역에 집어넣은 건 아니"라며 "수산물 소비 위축에 따른 생산 감소라든가 수산업 전반에 미치는 피해 영향조사에 우선 집중하면서 소비 위축 방지와 수산물 방사능 감시 등으로 수산물 안전 위주로 중점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