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도의회 제411회 정례회 농수축경제위원회 2차 정례회
강경흠 의원, "고급인력 육성 병행돼야 청년 일자리 확대 가능"
한동수 의원, "제주형 청년보장제 청년들의 욕구 더 구체화해야"

강경흠 의원(더불어민주당, 아라동)이 양질의 일자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절실하다는 지적을 제기했다.[사진=제주도의회]
강경흠 의원(더불어민주당, 아라동)이 양질의 일자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절실하다는 지적을 제기했다.[사진=제주도의회]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상장기업 유치, 도내 신산업 분야 확대 등에 따라 신규로 창출되는 일자리가 확대될 것이며, 양질의 일자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 운영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제411회 정례회 농수축경제위원회 2차 회의에서 강경흠 의원(더불어민주당, 아라동)은 "신산업 분야로 산업분야가 확장되고 그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에 대한 기대가 크다"며 포문을 열었다.

강 의원은  “2022년 9월 국가위성통합센터 제주센터 설립을 기점으로, 도내에 우주산업 관련 기업들이 유입되고 있고, 장기적으로 신규 일자리가 300개 이상 확대될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강 의원은 “ 도내에는 위성 관련 산업기반이 없기 때문에 교육과정 운영은 필수적"이라며 "고급기술을 보유한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단기간 교육에 그칠 것이 아니라 도내 대학 등과 연계해 정규과정을 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강 의원은 "도내에서 신규로 생성되는 양질의 일자리, 그리고 일자리수요에 매치될 수 있는 고급인력 육성이 병행돼야 도내 청년들의 일자리 확대가 가능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같은날 도의회 제411회 제2차 정례회를 열고 각 상임위원회별 2023년도 제주도 예산안 등을 심사했다.

더불어민주당 한동수 의원은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강철남) 제1차 회의에서 "제주형 청년보장제 추진체계에 청년들의 니즈(Needs)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담아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사진=제주도의회]
더불어민주당 한동수 의원은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강철남) 제1차 회의에서 "제주형 청년보장제 추진체계에 청년들의 니즈(Needs)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담아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사진=제주도의회]

이날 더불어민주당 한동수 의원(이도2동을)은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강철남) 제1차 회의에서 "제주형 청년보장제 추진체계에 청년들의 니즈(Needs)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담아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제주형 청년보장제와 관련해 청년들의 욕구를 좀 더 구체화해 담아낼 필요가 있다는 것.

앞서 민선8기 제주도정은 출범과 함께 7대 목표 101개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로 제주형 청년보장제 도입을 공약하고 추진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청년 생애주기를 진입기·구직기·직장기 등으로 세분화해 욕구별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두고 한 의원은 "도가 생애주기별로 사업군을 분류한데도 불구하고 실제 지원정책은 세분화하지 못한 듯하다"며 "예를 들어 청년 중 대학생은 임시거주지가 필요하고 직장인들은 내 집 마련이 중요한데 청년보장제 추진체계안에는 내 집 마련에 대한 주거정책만 있다"고 꼬집었다.

이어 또 한  의원은 “문화 분야도 마찬가지로 문화를 향유하려는 형태의 청년이 있고 문화예술인이 되려는 청년이 있을 텐데 추진체계안에는 문화예술인 육성을 위한 정책만 제시하고 있다”며 “생애주기별로 청년 의지를 반영하겠다는 제주도 계획과 다르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청년보장제 T/F팀에 정책적인 결정권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해 청년들의 목소리가 구체적으로 반영된 정책이 반영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