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제주시청 기자실서 추자도 해상풍력사업 관련 기자회견
'공유수면 점·사용에 대한 권한 제주시에 있다'거듭 강조
장성철, "추자 해상풍력 ‘제3차제주해상풍력력발전종합관리계획’ 반영해야
![13일 오전 10시 강병삼 제주시장이 추자도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 주민 주용성 없이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피력했다.[사진=제주시]](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210/2570933_2577188_340.jpg)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추자도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 제주의 새로운 갈등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제주시는 주민 주용성 없이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피력했다.
강병삼 제주시장은 13일 오전 제주시청 기자실에서 추자도 해상풍력발전 사업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주민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추자도 해상풍력발전사업으로 인한 찬반 간의 의견 조정과 소통을 위한 가교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8월 26일 기자회견에서 주민과 이해당사자의 다양한 여론을 충분히 수용하고 의견차를 좁혀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주민과 이해 당사자자의 다양한 여론을 충분히 수렴하는 한편 공유수면 점·사용에 대한 권한이 제주시에 있다는 입장을 단호히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이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듣고 사업 추진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제주시장으로서의 의지 표명임을 밝혔다.
강병삼 제주시장은 "이후 2회 추자도를 방문해 객관적인 정보제공과 의견수렴에 노력했고, 사업 관계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사업에 대한 내용과 주민 간 의견차에 대한 우리 시의 기본 입장을 전달하고 주민 수용성 없이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뜻도 명확히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 주민들 간의 갈등이 깊어지고 분열되고 나면 회복하는 데 치러야 하는 시간과 노력도 뼈아픈 상처로 남을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인식해 추자 해상풍력 관련 「갈등관리추진단」을 한시적으로 구성해 갈등 확산을 사전에 방지하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선제적으로 수렴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또 "현재 사업 인허가 권한에 대해서는 제주도정과의 공조와 협력 속에 일체의 절차와 과정들에 대해 꼼꼼히 확인해 지역주민들에게 알리겠다"고 약속했다.
강 시장은 "제주시민이라면 누구라도 제주시의 보호를 받아야 할 권리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할 것이며, 더불어 공유수면 점·사용 인허가 권한이 제주시에 있는 만큼, 저와 우리 시는 행정의 권한을 최선을 다해 발휘하면서 주민의 입장에 서서 중재해 나갈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13일 오전 10시 강병삼 제주시장이 추자도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 주민 주용성 없이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피력했다.[사진=제주시]](https://cdn.gukjenews.com/news/photo/202210/2570933_2577191_3514.jpg)
추자도 해상풍력발전사업은 노르웨이 국영 석유·천연가스회사의 한국법인 '에퀴노르사우스코리아후풍'과 특수목적법인 '추진'이 추자도 서쪽 10∼30㎞ 해역과 동쪽 10∼30㎞ 해역에 계획중인 사업이다.
설비 용량은 각각 1천500㎿씩 총 3천㎿로, 현재 제주에서 가장 큰 규모로 짓고 있는 한림해상풍력발전(105㎿)의 30배에 달한다.
한편 이날 장성철 전 국민의힘 제주도당위원장도 정책 논평을 통해 “오영훈 도정은 추자도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 강병삼 제주시장이 오전 밝힌 ‘주민 수용성 없이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기조와 함께 제주특별법 제304조 ‘풍력자원의 공공적 관리’ 조항에 근거하여 공공주도방식의 사업 방향을 분명히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강병삼 제주시장이 추자도 대규모 해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주민 수용성 없이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뜻을 사업자 측에 명확히 전달했다"고 밝힌데 대해 공감한다”라며 “찬반 의견 조정과 소통을 위한 가교 역할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기 위해 갈등관리추진단을 설치·운영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장 전 위원장은 “오영훈 도정에 공공 주도 방식의 사업 방향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중인 추자도 인근 해상 풍력발전사업을 ‘제3차제주해상풍력력발전종합관리계획’에 반영할 것”을 요구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
관련기사
문서현 기자
start-to@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