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뉴스) 조하연 기자 = 한국공공정책평가협회 부산시협회장 박재홍 박사가 "정부 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김치를 '파오차이'(泡菜)로 표기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비판하고 나섰다. 박재홍 박사는 국제뉴스 조하연 기자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문화골목 금요일 라이브쇼 <골목통신>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 2월 10일 식약처가 유튜브에 게시한 '임신부 건강을 위한 나트륨 다이어트-덜 짜게 먹기 1편' 제목의 중국어 자막 영상에서 '파오차이' 표기가 두 번 등장한다.
파오차이는 양배추나 고추 등을 염장한 중국 쓰촨(四川) 지역의 절임 식품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우리 고유의 발효음식인 김치의 중국어 번역과 표기를 '신치'(辛奇)로 명시했다.
박 박사는 "중국의 파오차이와 한국의 김치는 엄연히 다른 식품이다. 게다가 중국이 파오차이가 김치의 원조격이라며 '김치공정'을 하는 판국에 국가기관에서 말도 안되는 행위를 한 것"이라고 비판의 날을 세웠다.
현재 중국은 지속해서 '김치 공정'을 펼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환구시보와 글로벌타임스의 김치 도발 기사, 중국 최대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百度) 백과사전의 김치 왜곡 등을 '동북공정'에 빗대 '김치 공정'이라고 불리고 있다.
박재홍 박사는 "김치는 영어로도 김치다. 중국어로도 김치라고 불러야 하지만, 현재는 '신치'가 김치의 중국어 표기로 등재되어 있다. 파오차이와는 전혀 다르다. 중국의 훠궈를 우리가 마음대로 샤브샤브라고 부르면 중국이 좋아할까"라고 비판했다.
박 박사는 이어 "식약처는 중국에서 수입하는 김치에 대한 점검이나 똑바로 하라"고 밝혔다.
한편 유튜브 채널 문화골목은 국제뉴스 조하연 기자와 브릿지경제신문 도남선 기자가 운영하고 있으며, 박재홍 박사와 함께 월요일 오후 3시 '꿈해몽비결'을, 금요일 오후 7시 '골목통신 라이브쇼'를 진행하고 있다.
조하연 기자
ovedalife@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