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농수축위, 11일 해양수산국‧해양수산연구원 업무보고
색달동 해양쓰레기시설 증설계획 무산, 대책없는 행정 비판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의 해양쓰레기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지난해 역시 2만톤이 넘은 해양쓰레기가 발생하면서 처리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색달동 남부환경관리센터의 소각시설 증설계획이 무산되면서 대책없는 행정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11일 오전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는 제402회 임시회 제2차 회의를 갖고 제주도 해양수산국과 해양수산연구원을 대상으로 올해 주요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날 제주도의회 고태순 의원(더불어민주당, 아라동)은 색달동 남부광역소각장 소각시설 증설계획 무산에 따른 해양쓰레기 처리방안에 대해 질타했다.
고 의원은 “지역 주민들이 반대 의견을 제출하면서 소각시설 확장이 무산 됐는데, 행정의 대책방안은 전무하다"며 "매년 해양쓰레기가 증가해 처리난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2020년 기준 해양쓰레기수거량은 매년 5.9%(1만6702t)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전역을 대상으로 역폐기물 소각시설 입지 공모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신청서를 낸 지역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제주도는 당초 색달동 남부환경관리센터의 소각시설을 하루처리용량 380t 규모로 확장, 이를 통해 하수 슬러지와 해양폐기물 등을 처리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지역주민들이 반대 의견을 제출하면서 소각시설 확장이 무산됐다.
이에 대해 김경미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는 “2019년 12월 3일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이 제정됨에도 불구하고 행정이 손 놓고 있다”며 “해양쓰레기 처리난을 해소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계획수립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재차 덧붙였다.
임정은 의원(더불어민주당, 대천·중문·예래동) 역시 “처리난을 해소하기 위해 환경보전국과의 협의가 부족하고 해양수산국 차원의 대안을 마련한 적이 없다”며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한 다각적인 대안마련이 요구된다”고 주문했다.
한편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송재호 의원(더불어민주당·제주시 갑)이 해양수산부에서 제출받은 해양쓰레기 관련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 바다와 연안에 버려진 해양쓰레기 양이 무려 2만톤이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최근 3년 사이 갑절 이상 늘어난 규모로 지난 2019년 1만 1760톤, 2020년 1만 6622톤, 그리고 지난해 2만 1489톤으로 집계됏다. 3년 사이 무려 82.7%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중 플라스틱이 차지하는 비중은 85%를 차지하고 있고, 지난해에도 2만7039개 플라스틱 1470kg이 해안가에서 발견됐다. 그 다음으로는 목재인데 340kg, 16.2%를 차지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
문서현 기자
start-to@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