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담은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재수립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노선도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노선도

도시철도망 구축 대상 10개 노선(92.75㎞) 확정…오륙도 연장선, 오시리아선, 1·2호선 급행화 노선 등 4개 노선 신규 추가, 기존 7개 노선은 병합 등으로 6개 노선으로 조정

(부산=국제뉴스) 김옥빈 기자 = 부산시는 18일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2차 변경(안)’이 국토교통부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변경계획은 '제1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수립(2017년 6월) 후 그간 변화된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해 타당성을 재분석한 현실적인 계획으로 ▲대중교통망 확충을 통한 도시철도 서비스 제고 ▲지역 간 균형발전 도모 ▲광역철도와의 네트워크 기능 강화 등 도시철도 운영의 효율성을 강화하고, 편리한 도시철도망을 구현하기 위해 수립됐다.

국토부의 변경계획 승인에 따라, 10개 노선(92.75㎞ 신규 4개, 기존 6개)이 도시철도망 구축 대상노선으로 확정됐다.

4개 노선이 신규로 추가 반영됐고, 기존 7개 노선(83.0Km)은 일부 노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병합해 6개 노선으로 조정됐다.

구체적으로, 신규노선은 ▲도시철도 이용 편의 제공을 위해 오륙도 트램 실증노선(1.9Km)에서 오륙도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오륙도 연장선'(3.25Km)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교통혼잡 해소를 위해 2호선(장산역)을 연장하는 '오시리아선'(4.13Km) ▲도시철도 이용 효율 극대화를 위한 도시철도 '1·2호선 급행화' 노선 등 4개 노선이 추가됐다.

기존노선에서는 ▲도시철도(1호선)와 동해선의 네트워크 효과 증대와 경제성 확보를 위해 신정선과 정관선이 ‘노포~정관선’으로 병합됐고 ▲원도심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 'C-Bay∼Park선'은 용두산공원·광복동·부평동 구간을 순환하는 노선으로 연장됐다.

그리고 ▲'송도선'은 C-Bay∼Park선과 연계 및 사하경찰서 경유를 위해 노선이 변경되는 등 도시철도 간 연결성 강화와 이용 편의를 위해 기존노선 일부 구간이 조정·변경됐다.

이 외에도 기존노선인 하단 녹산선, 기장선, 강서선은 당초 계획대로 유지됐다.

도시철도망 구축 대상 노선 선정기준(경제성 0.7 이상, 종합평가 0.5 이상)을 충족하지 못해 이번 변경계획에 반영되지 못한 초읍선, 영도선, 우암~감만선, 동부산선은 후보 노선으로 선정돼 장기 우선 검토노선으로 관리될 예정이다.

이번 변경계획에 반영된 대상노선이 모두 건설되는 2036년에는 도시철도 수단분담률이 기존 11.04%에서 14.08%로 3.04%P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더욱 편리한 도시철도 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10분 이내 도시철도역으로 접근 가능한 행정동이 128곳에서 152곳으로 늘어 평균 접근시간이 기존 9.06분에서 7.25분으로 1.81분 단축되고, 도시철도 역세권 인구도 기존 82.8%에서 88.0%로 5.8%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도시철도 접근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 [운영 중인 도시철도 : 5개 노선, 138.5Km, 135개 역

연번

선 별

구 간

거 리

역사()

차 량

비고(개통)

1

1호선

노포~다대포

39.9

40개역

중형전철

(‘85~’17)

2

2호선

양산~장산

45.2

43개역

중형전철

(‘91~’12)

3

3호선

수영~대저

18.1

17개역

중형전철

(‘05)

4

4호선

미남~안평

12.0

14개역

경전철

(‘11)

5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김해 삼계동

23.3

21개역

경전철

(‘11)

 

* [추진 중인 도시철도 : 3개 노선, 20.2Km, 19개 역

연번

선 별

구 간

거 리

역사()

차 량

비고(개통예정)

1

사상하단선

사상~하단

6.9

7개역

경전철

‘23

2

양산선

노포~양산 북정

11.4

7개역

경전철

‘23

3

오륙도 실증노선

경성·부경대~이기대

1.9

5개역

트램

‘24

 

*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변경(2차) : 10개 노선, 92.75Km, 116개 역

연번

선 별

구 간

거 리

역사()

차 량

비고

1

하단녹산선

하단~녹산

14.4

12개역

경전철

기존

2

C-Bay~Park

부평~시민공원

12.08

24개역

트램

기존

3

노포정관선

노포~좌천

22.97

22개역

트램

기존

4

강서선

명지주거단지~대저

21.1

24개역

트램

기존

5

오륙도선 연장선

이기대~해맞이공원

3.25

6개역

트램

신규

6

송도선

부평~장림

7.72

13개역

트램

기존

7

기장선

안평~일광택지

7.1

5개역

경전철

기존

8

1호선 급행화

노포~다대포

대피선

4개역

중형전철

신규

9

2호선 급행화

장산~양산

대피선

4개역

중형전철

신규

10

오시리아선

장산~동부산관광단지

4.13

2개역

중형전철

신규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