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국제뉴스) 조하연 기자 = 부산시가 동서 지역 간 불균형 해소를 위해 '특별정비구역'의 기준용적률을 9% 일괄 상향해 낙후된 서부산권의 재개발 재건축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지난 12월 29일 '2030부산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기본계획' 변경고시를 통해 원도심과 서부산권 6개 자치구를 '특별정비구역'으로 지정하며 기준용적률을 9% 일괄 상향했다. 지난해 6월 재개발사업의 기준용적률을 전체 10% 상향 조치를 포함하면 특별정비구역은 19% 상향된 셈이다.
해당지역은 중구·서구·동구·영도구·사하구·사상구 등 서부산권에 위치해 있으며, 최근 10년간 인구감소율이 10% 초과한 지역들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의 추진상황은 중·동부산 쏠림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도시 기반 시설이 열악한 원도심·서부산권의 주거환경을 개선해 인구 유입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 사하구 괴정5구역의 주영록 재개발위원장은 "기준용적률이 높아지는만큼 정비구역별로 추가이익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괴정5구역의 경우 전국 최초 주민자치형 생활권 시범마을로 선정돼 주민참여율이 상당했다"며 주민 주도의 재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기준용적률 상향으로 인한 인구 유입 가능성에 대해서는 "구역별 조합장들의 이익을 위한 재개발은 주민 갈등과 집값 상승을 부추겨 오히려 인구가 유출될 수 있다"며 "괴정5구역과 같이 주민이 적극 참여한 재개발이 모범선례가 된다면 서부산권 내에서도 균형발전을 통해 충분히 인구 유입이 가능하다"고 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부산시의 이같은 조치에 대해 일부 사업자들에 이익만 몰아주는 것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조하연 기자
ovedalife@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