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여군민들의 염원이 이뤄졌습니다. 교육부와 행안부의 공동 재투자심사에서 부여여고 단독이전이 결정되었다. 교육부와 행안부에 감사드린다."(박정현 군수)
"부여여고 단독이전 결정은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들이 모두 힘을 합쳐 노력한 결과입니다. 국회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나가겠다."(정진석 국회 부의장)
오매불망(寤寐不忘)고대했던 부여군민들에게 낭보가 날아들었다. 똘똘 뭉쳐 한목소리를 냈던 군민들이어서 기쁨은 더 컸다.
충남 부여군 숙원사업인 '부여여고 단독이전'이 정부 심의를 통과하며 최종 확정됐다.
이 같은 결과가 있기까지 박정현 부여군수의 지속적인 신뢰와 교육철학이 교육부의 고교통합 이견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군수는 지난 29일 군민들과 함께 기쁨을 나눴다. 모든 공을 군민들의 노력과 수고로 돌렸다.
박 군수는 부여여고 단독이전과 관련해 "문화재청의 정부 사업에 따른 이전의 불가피성과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 당연한 결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결정은 부여여고 학생들, 학부모회, 부여여고 총동창회, 지역의 교육계, 시민사회단체, 부여군의회 등 지역사회의 단합된 노력"이라며 감사했다.
또 그동안 단독이전을 둘러싸고 애쓴 사람들에게도 이름을 거론하며 감사했다.
박 군수는 "정진석 국회부의장님, 양승조 도지사님, 김지철 교육감님,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님의 관심과 노력이 큰 힘이 되었다"고 말하고 "부여여고 단독이전에 함께해 주신 군민과 힘을 실어주신 모든 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강조했다.
또 한 사람의 공로자, 국민의힘 정진석(충남 공주·부여·청양)국회 부의장도 군민들과 함께 기쁨을 나눴다.
정 부의장은 "부여여고 단독이전은 함께 노력해 온 학생들과 학부모님, 지역 주민들 모두가 힘을 합쳐 노력해온 결과로 지역의 국회의원으로서 큰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아이들이 공정하고 질 높은 교육 기회를 갖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약속했다.
"교육부 특별교부금이나 부여여고 단독이전은 작은 사업이지만 우리 자녀들의 교육에 관련된 문제라 소홀히 할 수 없었다"고 회고한 정 부의장은 "학부모 동문들이 원했던 방향으로 부여여고는 부여고등학교에 통합되지 않고 여고로서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게 돼 재학생·교직원·동문 모두 안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사실상 부여군은 일찌감치 부여여고 단독이전에 필요한 부지, 부여고등학교 앞 가탑리 일원에 조성예정인 문화예술교육 종합도시 내에 확보한 상태다. 또 부여여고 단독이전 비용 중 보상비를 제외한 금액의 30%를 지원하기로 계획했던 것.
이번 공동투자심의 통과에 따라 부여군과 충남도교육청은 2024년 9월 개교를 목표로 부여여고를 문화예술교육종합타운 부지로 본격 이전을 추진한다.
이에 앞서 공투위는 지난해 9월 심사에서 이전 타당성 재검토 및 관내 소규모 고등학교(부여고) 통합 검토 등을 이유로 반려 처리해 군민들의 극한 반발을 샀다.
하지만 박 군수를 중심으로 똘똘 뭉친 지역 관계자들과 언론, 군민들의 염원은 마침내 교육부를 움직였다. 국회 정 부의장의 숨은 노력 또한 큰 몫을 했다.
이번 부여여고 단독이전 결과는 분명 백년대계 교육의 꿈이 담긴 비전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군민들이 함께 일궈낸 값진 체험, 부여군의 교육사(敎育史)를 새롭게 쓴 이번 부여여고 단독이전.
"부여여고를 살렸다" 는 군민들의 긍지와 자부심을 높인 계기다.
서중권 총괄본부장/sjg0122@naver.com
서중권 기자
sjg013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