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참연환경연대, 원희룡 도정 투기비리 게이트 주장
제주도의회 행정사무조사권 발동해야…로비의혹 철저히 밝혀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난개발 방지와 도정 견제 무력 지적도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오등봉과 중부공원에 대한 민간특례사업의 몸통이 안동우 시장일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18일 성명을 통해 오등봉과 중부공원에 대한 민간특례사업을 두고 '원희룡 도정의 투기 비리 게이트'라고 명명하면서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 행정사무조사권을 발동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도시공원 민간특례 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인가를 특정 날짜까지 이행하지 못할 경우, 제주시장이 모든 책임을 진다'는 협약서가 공개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사건을 '원희룡 도정의 투기비리 게이트'라고 명명했다

이유인 즉 제주시장은 법인격이 없기 때문에 현 제주시장이 책임질 수가 없기 때문에 안동우 시장 단독으로는 협약에 서명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는 것이다. 그렇게 때문에 원희룡 전 지사의 개입이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판한다게는 합리적이라는 주장이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그간 제주의 모든 공원을 매입하겠다던 원희룡 전 지사가 갑자기 말을 바꾸고 임명시장을 내세워 모든 절차적 정당성을 훼손하면서 사업자와 약속한 시한에 맞춰 실시계획 인가를 내줬고, 제주도의회에서 역시 이해할 수 없는 결정으로 이를 도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제주참여환경연대는 2년 전 제주신화월드 하수역류사태로 행정사무조사권을 발동했던 제주도의회를 상기시키며 "제주도의회가 민의를 대변하는 기관이라면 이번  도시공원 민간특례에 대한 행정사무조사권을 발동해 잘못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번 또한 사업자에 포함된 퇴직 공무원이 도의원들에 대한 무차별 로비를 벌였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철저히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

제주참여환경연대는 "민간특례사업으로 2000세대가 넘는 대규모의 아파트가 2025년 지어지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너무도 명확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주참여환경연대는 "이번 조치는 내년 선거를 앞두고 다시 선택할 수 있는 마지막 평가가 될 것"이라며 "압도적인 의석수를 점하고 있으면서도 난개발 방지와 도정 견제에 무력했던 더불어민주당은 무엇을 해야할지 도민들에게 밝혀야 할 것"이라고 종용했다.

한편 이와 관련 제주시는 이날 오전 10시 제주시청 기자실에서 도시공원민간특례사업 관련 브리핑을 진행할 예정이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