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인천 남부소방서 소방교 최상무

▲ 소방교 최상무

신체를 건강하게 단련하기에 좋은 스포츠를 꼽으라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등산을 일순위로 꼽을 것이다. 국내 등산인구는 벌써 180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겨울산은 눈과 함께 절경을 이루고 있어 많은 등산객들이 겨울에 산을 찾고 있다. 하지만 겨울철 등산은 많은 위험요소가 따른다. 아무런 준비 없이 산에 오를 경우 오히려 부상을 입기 쉽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대비하고 준비해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산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주변의 등산객에게 구조를 요청하고 신속한 구조 활동을 위해 위치표지판 지정번호, 사고내용, 주변여건 등을 정확히 신고해야 한다. 이러한 산악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한 산행을 하기 위해 다음 몇 가지 안전수칙을 준수하자.

첫째, 개인별 건강상태를 확인 후 자신의 체력에 맞는 등산계획을 수립하고 산행 전ㆍ후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며 산행 전 혈압 측정 등 자신의 건강상태를 알고 심장돌연사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둘째, 겨울철 최고의 복병은 바람이다. 허술한 채비로 강풍에 노출되면 순식간에 저체온증에 걸릴 수 있다. 상황에 따라 옷을 바꿔 입도록 하며 땀을 흘린 상태에서 바람이 불어대는 능선으로 올라서면 신속하게 보온의류를 꺼내 입어 체온을 빼앗기지 않도록 한다.

셋째, 눈이 쌓인 산을 오를 때는 아이젠을 착용, 낙상에 대비해야 한다. 넷째, 몸을 조이거나 꽉 끼는 장갑과 신발 등은 혈액순환을 방해해 동상이 걸리기 쉬우므로 한 치수 큰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또 헤드랜턴이나 비상식량, 비상약품 등을 준비하도록 하고 등산객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산악구조의 특성상 정확한 사고자의 위치 및 현황파악이 어렵고 구조헬기 등 장비의 접근과 인력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구조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는 것보다 안전의식과 안전수칙을 지킨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겨울 산행은 특히 안전에 유의해야 함을 명심하고 안전장구를 잘 챙겨서 건강에 이롭고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있도록 하자. (인천 남부소방서 소방교 최상무)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