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지원금 1조 5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범정부적으로 지원

이에 정부는 영덕 원전 건설에 따른 법정지원금 1조 5000억원(연평균 약260억원, 2기 기준)을 60년 동안 투입하는 등 범정부적으로 지원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오후 영덕군청에서 가진 간담회에 정홍원 국무총리,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관용 경북지사, 조석 한수원 사장 등과 주민 대표 10여명, 반핵성향 사회단체장 등 30여명이 참석 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간담회에서 "영덕 원전의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반영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영덕군이 원전 유치를 계기로 확실한 지역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가능한 정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영덕군은 지난 2012년 9월 원전 예정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최근까지 원전건설 계획이 확정되지 않아 지역주민의 불만이 제기돼 왔다.

이어 지역 의료서비스 제고를 위한 정부 지원에 대해 "한수원과 관계부처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강구 신항만 개발사업을 속도감있게 추진하도록 하고 다른 숙원사업에 대해서도 소관부처가 적극 검토해 타당한 사항은 최대한 지원하라"고 말했다.
한편 한수원과 울진군은 이날 오전 울진군청에서 정홍원 총리, 윤상직 장관, 강석호 국회의원이 배석한 가운데 임광원 울진군수, 이세진 울진군의회 의장, 조석 한수원 사장이 ‘신한울 원전건설 관련 8개 대안 사업 합의서’에 서명했다.
정 총리는 합의서 서명과 관련한 축사에서 "이번 합의는 지난 1999년부터 오랜기간 어려운 협상 끝에 일궈낸 값비싼 성과로 의미가 크다"면서 "우리나라 에너지 수급과 지역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상생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경 위원장은 "정상적인 공청회는 단 1차례도 열린적이 없는데, 마치 모든 주민이 원전 건설을 찬성하고 있는 것처럼 조작되고 있다"며 "영덕 원전 건설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경찰은 반핵단체의 기습시위에 대비해 사복경찰과 기동중대 등 병력 200여명을 영덕군청 주변에 배치했으나, 별다른 마찰은 일어나지 않았다.
조인호 기자
eno1866@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