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국제뉴스)박종진 기자 =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대구동구을 당협위원장)이 22일 대구시에 설치되어 있는 14개의 도시대기측정소만으로는 미세먼지 발생원인 및 위험지역 규명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대구시의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연평균 농도는 장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시민들의 체감은 이와 다른 경우가 많고, 대구시의 경우 동일한 구와 군내에서도 미세먼지의 국지적 변화가 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세부 지역별 현황을 파악하고,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 대구경북연구원에 따르면 구·군내에서 미세먼지의 국지적 변화(평균값 오류, 측정소 부족, 위치 문제)가 심해 측정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구·군 단위의 정보로는 국지적으로 큰 변화를 보이는 미세먼지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은 최대 값이 아닌 평균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현재 측정되는 값은 신뢰할 수 없는 ‘평균의 함정’ 인 것이다.
이에 현재 공공기관에서 수집하는 자료로는 미세먼지의 발생원과 위험지역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대구의 14개 도시대기측정소로는 지역 내 미세먼지의 국지적 분포를 충분히 파악하기 힘들다. 이에 현재 구축된 자료를 토대로 과학적 원인분석 과정을 거쳐 미세먼지 위험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3년) 대구의 미세먼지 환경기준 초과횟수(측정소별) 현황을 보면 수창동 180건, 이현동 87건, 대명동 189건, 노원동 222건, 신암동 177건, 만촌동 129건, 지산동 123건, 호림동 72건, 서호동 177건, 태전동 57건, 현풍읍 54건, 시지동 120건, 진천동 147건으로 총 1734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규환 국회의원은, "보다 조밀하고 짜임새 있는 측정소의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며 "대기오염측정망과 함께 미세먼지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이동식 측정센서 추가로 미세먼지 감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구는 광역적 측정망을 갖춘 수도권이나 부산권과 달리 도심 일원에만 측정소가 설치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영천, 칠곡, 군위, 고령, 청도 등 대구대도시권의 인근 시·군과 공조하여 현재 측정소가 없는 대구시 외곽지역의 신규 측정시설을 도입하고 이어 광역적 측정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고 말했다.
김 의원은, "대구지역 전체에 대한 미세먼지 예·경보체계를 공간적으로 세분화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시민들이 실제 노출된 미세먼지 위협 수준을 정확히 인식해 사전에 적절하게 대응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며 "현재 구·군 단위로 취합되어 제공되는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측정소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하고,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측정망을 단계적으로 추가 배치할 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박종진 기자
pjj2738@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