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요식 자유한국당 구로을 당협위원장.

▲ 강요식 자유한국당 구로을 당협위원장.(국제뉴스DB)

현대판 탐관오리 한 사람이 대한민국을 발칵 뒤집고 있다. 도덕군자 행색을 하더니, 위선의 민낯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그 수법과 정도가 상식 밖이고, 역대 급이다. 자신이 갈고 닦은 지식을 한낫 법망을 피해가는 보호수단으로 악용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청년부터 학부모까지 아니 하늘까지도 위선적인 언행에 개탄하고 있다. 도대체 공직자의 솔선수범은 어디갔단 말인가? '노블레스 오블리주'는 수사에 불과했단 말인가.

서울대 교수 조국은 외모와 언행에 세간의 관심을 줄곧 모아왔다. 좌파인사로 꾸준히 자신의 색깔을 드러냈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의 유공자로 민정수석까지 차지했다. 그 자리에서 본연의 임무인 인사검증, 친인척관리, 공직기강 등에서 무능을 보였지만, 가벼운 SNS 정치로 언론에 중심에 서려했다. 최근 일본 수출규제 문제에 즉흥적으로 '죽창'을 내세워 반일감정을 불러일으키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사실, 이것은 매국적 행위로 평가된다.

우리 사회를 무력으로 전복하려 했던 반국가 이적단체인 사노맹 출신으로 그 사상이 의심스런 사람이 법무부 장관이라니 언어도단이다. '조국캐슬'로 요약되는 조국 딸의 입학부정 및 장학금 의혹, '가족사기단'의 전형인 사모펀드 투자, 치부수단으로 악용된 사학재단 등 끝도 없는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까지 35가지 의혹에 전 정권 적폐세력에게 적용된 법기준이라면 조국은 48년형은 받아야 한다는 말이 유튜브 방송에 돌고 있다.

조국 얼굴 표정이 어두워지고 있다. 뻣뻣하고 텀블러 들고 여유를 보이던 기고만장한 모습은 사라지고 고개가 점점 숙여지고 있다. 여론의 뭇매를 맞고 나더니 이제 조금 정신을 차리는 모양이다. 청와대 청원에서 임명동의에 반대하는 숫자가 20만명을 넘어섰고, 여론조사기관에서도 임명반대(중앙일보 60%)가 훨씬 높게 나오고 있다. 사학재단과 사모펀드를 사회환원한다고 하는데, 무슨 의미가 있는가. '부도덕한 돈'을 받아서도 안될 것이다. 때는 늦었다.

'국민청문회'라는 기상천외의 발상을 한 더불어민주당이 꼬리를 내렸다. 국회 법사위 여야합의로 9월 2일, 3일. 이틀동안 청문회가 열린다. 만약 기존과 같은 어물쩡한 물타기 청문회가 된다면 9월 3일은 '조국변란'이 일어날 수도 있다. 조국이 애국자가 되는 길이 있다. 스스로 사퇴하면 참회도 되고, 그간의 죄가 조금은 용서될 수 있지만, 변명으로 일관한다면 돌이킬 수 없는 국가의 변고가 될 것이다. 국민이 모두 붕어, 가재, 개구리가 아니다.

고려대, 서울대 촛불집회를 보면서 이제 조국의 운명은 기울었다는 생각이 짙다. 부산대까지 대학생들의 분노는 이어지고, 전국대학에서도 아니 전국의 학부모까지 '조국캐슬'의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 '조국 게이트'와 관련있는 인사들은 앞다투어 용기있게 양심고백을 해야한다. 그래도 다행이다. 법무부 장관 지명되기 전에 조국의 특권, 위법, 편법의 진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무법천지를 만들지 않으려면 조국의 장관행을 꼭 막아야 한다.

문 대통령은 사법개혁의 적임자라고 조국을 노래 부른다. 국민들은 사법개혁이 아니라 사법장악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청문회 개최를 앞당기려는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 시간만 때우고 면피하려는 의도가 분명하다. 신남방 국빈방문을 하는 문 대통령은 순방중에 전자서명을 하려는 의도였을까. 조국은 법무부 장관이 아니라 입시개혁을 위해 '교육부장관'으로 추천하는 것이 어떨까하는 말도 안되는 상상을 해본다. 사실, 청문회 후 가야할 곳은 특검 조사실이다.

조국이 있는 문재인 정부의 내각은 오염되고, 최악의 국정운영이 될 것이다. 문 대통령은 고민하지 말고, 민심만을 보고 결정하면 된다. 조국의 눈치, 또는 주사파들의 편협된 조언에 매몰되지 말고, 문 대통령이 살고, 국민 모두가 용인할 수 있는 '조국철회'의 길을 택하길 기대한다. '대인춘풍, 지기추상'(상대에게 관대하고, 자신에게 엄함)의 뜻을 잘 하는 조국과 문 대통령께 다시한번 국민의 이름으로 강력히 촉구한다. 오늘 죽고 내일을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