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겨울철 폭설 등 기후변화 재난대책 마련 추진
(제주=국제뉴스) 고병수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 안전관리실은 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인한 겨울철 폭설 등 각종 재난에 대한 대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제주는 올해 1월 기록적인 폭설과 여름철 장기간의 가뭄·폭염, 태풍 차바 내습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는 것.
최근에 경주에 발생한 지진이 제주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재난에 따른 도민들의 불안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에 道는 계절별 재난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고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12월 1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유관기관과 협업체제를 강화하는 등 폭설·한파 등에 대비한 재난대응 총력체제를 구축해 운영한다.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 중 중점 추진사항으로 폭설로 인한 기상특보 발령시 비상근무 체제 구축 및 상황실 운영 등 신속한 초동 대응체계를 유지한다.
대책기간동안 폭설과 관련된 정보는 우선 방송,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재난문자서비스를 지역특성에 맞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태풍·호우·폭염 등 각종 재난대책 마련을 위해 道와 협업부서, 행정시, 유관기관간 합동으로 TF팀을 구성해 지난 재난대응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도출해 자연재난매뉴얼을 보완 정비해 나간다.
또한 초동대응강화, 비상연락체계 현행화 및 협업기능별 임무 등에 대해 보완 정비해 내년 3월까지 협업부서, 행정시, 유관기관, 학교 등에 배포할 계획이다.
한편 최근 경주지진발생을 계기로 추진 중인 "제주형 지진방재 종합대책 수립" 일환으로 올해 11월 도·내외 지진전문가로 지진자문위원을 구성해 앞으로 추진될 "제주형 지진방재종합대책 수립용역"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전반적인 자문을 얻어 추진될 계획이다.
관계자는 "지진으로부터 도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우선 공공시설에 대해 2030년까지 내진보강 마무리계획으로 추진하고, 민간시설물도 세금감면 및 건폐율, 용적률 완화 등을 홍보하고 지진대피 훈련 등 지속적인 체험형 훈련 및 교육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홍성택 안전관리실장은 "이번 기후변화에 대비한 맞춤형 재난대책을 추진해 나가 도민 불안감 해소와 재난으로 인해 피해를 최소화 하는 데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