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문&양산미래혁신연구원, 양산의 길을 묻다 '시민 200명 모인 정책 토론회 성황'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양산 성장 다각적 해법 제시

2025-11-26     박영헌 기자
'한옥문&양산미래혁신연구원'이 주최'양산의 길을 묻다' 정책 토론회 모습./사진=국제뉴스DB 

(양산=국제뉴스) 박영헌 기자 = 양산의 지속 가능한 성장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 토론회가 시민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양산미래디자인융합센터 컨벤션홀에서 25일 열린 '양산의 길을 묻다' 정책 토론회는 '한옥문&양산미래혁신연구원'이 주최했으며, 양산의 미래 전략에 대한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하듯 많은 참석자들로 장내가 가득 찼다.

행사는 부경대 송영조 연구교수의 '시민과 함께 꿈꾸는 양산의 미래'라는 주제발표로 시작됐다.

송 교수는 "과거의 자연 성장기에 비해 지금의 양산은 에너지 전환, AI 기반 산업구조 변화 등 전환기에 맞는 신산업 발굴이 필수"라며 "지역 산업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패널들도 산업·사회 구조 변화에 앞서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한목소리로 제기했다.

손상락 경남도의회 박사는 ▲양산형 강소기업 육성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 ▲지하철역 중심 15분 도시 조성 ▲양산ICD 첨단물류단지 재편 ▲UN 국제물류센터 유치 등을 전략사업으로 제안하며 "제조 기반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지역경제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테크노파크 김태훈 해양ICT센터장은 양산의 지리적 강점을 활용한 부울경 물류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산업 밀집 도시와의 연결성이 우수한 만큼, 물류 플랫폼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이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도시 정책의 관점을 확장해야 한다는 비경제적 접근도 제시됐다.

경남대 박갑제 교수는 "사회·문화적 가치가 균형을 이루어야 지속가능한 도시가 완성된다"고 했으며, 문화교육연구소田 전이섭 소장은 "양산의 성장 모델이 한계에 이르렀다"며 "경제 중심에서 사회적 가치 중심의 공통가치의 창조(Creating shared value)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좌장을 맡은 이다윗 지방전략연구원 박사는 "여러 가능성이 제시된 만큼, 이를 구체화하는 행정·산업계·시민의 협력 구조가 필요하다"고 정리했다.

행사를 주최한 한옥문 양산미래혁신연구원 원장은 "지금이 양산의 미래를 결정할 결정적 시점"이라며 "오늘의 논의가 37만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양산의 성장 가능 방안을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한 이번 토론회를 통해 지역사회에서는 '한옥문&양산미래혁신연구원'의 앞으로의 행보 또한 양산의 미래 방향 설정에서도 적잖은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전망과 기대를 높였다는 평가를 남겼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pyh933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