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인 새마을금고 중앙회장 한 시민단체가 고발
김인 회장, 금품·향응 수수 및 '보은 인사' 의혹으로 고발당해 수사 진행 중 시민단체, 김 회장 뇌물수수·직권남용 등 혐의로 고발 수백만 원 상당 리조트 무상 이용, 명품 등 고가 금품 수수 의혹 제기 비위 연루 간부 '보은 인사' 논란, 증거인멸 시도 의혹까지 불거져
(서울=국제뉴스) 김서중 기자 = 서민과 소상공인의 금융을 지탱해 온 새마을금고가 또다시 수장의 비리 의혹에 휩싸이며 위기를 맞고 있다.
김인 새마을금고 중앙회장이 금품·향응 수수 및 '보은 인사' 의혹으로 시민단체에 의해 고발당한 것이다. 이는 특가법상 수재 혐의로 구속된 박차훈 전임 회장에 이어 현직 회장까지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면서 새마을금고 조직 전체에 파장이 예상된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견제 없이 비대해진 중앙회의 '제왕적 권력 구조'와 '내부통제 시스템 붕괴'가 빚어낸 구조적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단체는 김 회장을 뇌물수수, 직권남용, 업무상 배임, 증거인멸 교사 등의 혐의로 고발하며 사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고발장에 따르면 김 회장은 2023년 6월, 새마을금고 간부에게 요구하여 수백만 원 상당의 제주 고급 리조트를 무료로 이용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또한 2022년 5월에는 서울 지역 금고 간부로부터 명품 벨트, 바람막이 등 고가의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더욱 심각한 점은 김 회장이 비위에 연루된 간부를 경징계 후 자회사 대표로 영전시키는 '보은 인사'를 단행했다는 의혹이다. 이는 회장의 권한을 사유화하고 조직의 공정성을 훼손한 '직권남용'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심지어 지난 7월에는 김 회장이 비위 은폐를 위해 관련자에게 입막음용 현금 봉투를 전달하려다 거절당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지며 '증거인멸 시도' 논란까지 일고 있다. 사법기관은 이러한 의혹들을 엄중하게 보고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의 한 새마을금고 이사장은 "현재 새마을금고 상황도 어려운 가운데 전임 회장에 이어 현 회장까지 이러한 일이 벌어졌다는 사실에 참담함을 느낀다"며 "일선 금고에 또다시 피해가 갈까 우려된다"고 허탈한 심정을 토로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새마을금고를 비롯한 상호금융권 전체가 중앙회장의 '권한 반납'을 결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중앙회가 지역 금고 위에 군림하며 '명령과 통제'를 일삼는 관료 조직이 아니라, 현장을 지원하고 회원의 신뢰를 회복하는 서비스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회장 개인의 청렴성뿐만 아니라 '제도적 청렴성'을 구축하는 시스템 재설계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