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가 변하니 지역이 살아났다"… 제주교육발전특구, 전국 모범사례로
제주도청–제주교육청 협력으로 교육부 성과 관리 최우수 등급 달성 ‘돌봄 꿈낭’·‘마을 키움터’ 전국적 주목… 10억 추가사업비 확보 가능 지방소멸 위기 속, 교육이 이끄는 지속가능한 지역혁신 자리매김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교육으로 지역의 미래를 바꾸는 ‘제주형 실험’이 결실을 맺었다.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이 함께 추진 중인 ‘제주교육발전특구’가 교육부의 2024년도 성과관리 평가에서 최우수(A) 등급을 받으며 전국 교육협력 모델의 선두로 부상했다.
이는 단순한 정책 평가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행정과 교육의 벽을 허물고, 인구감소·지역소멸이라는 국가적 위기에 ‘교육자치와 지역정책의 통합’으로 대응한 첫 성공 사례이기 때문이다.
# 행정과 교육이 손을 맞잡은 전국 유일의 ‘도 전역 단위 특구’
제주교육발전특구는 2024년 2월 전국 최초로 ‘도 전역 단위 시범특구’로 지정됐다.
이는 일반적인 교육특구가 시·군·구 단위에서 운영되는 것과 달리, 제주는 도정 전체가 교육혁신의 무대로 확장된 유일한 사례다.
교육부는 2024~2025년 2년간 총 132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성과평가 A등급을 통해 최대 10억 원의 추가사업비 확보도 가능해졌다.
이처럼 단기간 내에 최우수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에는, 지자체와 교육청 간 긴밀한 ‘공동 추진체계’다.
제주 도정이 인프라와 예산을 지원하고, 교육청이 정책 실험을 설계·운영하는 ‘쌍방향 거버넌스 구조’가 안정적으로 정착된 것.
# 제주교육 현장 1년 가시적 성과… ‘돌봄 꿈낭’·‘마을 키움터’ 전국적 주목
불과 1년 사이, 제주의 학교 현장은 눈에 띄게 바뀌었다.
‘제주형 자율학교’ 제도를 통해 학교별 특색 교육과정이 정착되기 시작했고, 특히 전국 유일의 글로벌 역량학교 운영은 외국어 친화 환경을 조성하며 작은학교 학생 수 증가라는 실질적 변화를 이끌었다.
여기에 협약형 특성화고와 자율형 공립고 2.0이 도입되면서, 지역 기업 및 기관과 학교 교육이 직접 연계되는 산학협력 체계가 구축됐다.
이는 단순한 진학 중심 교육을 넘어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경제 연계 모델로 확장되고 있다.
돌봄·안전 분야의 혁신도 주목된다.
주말까지 운영되는 통합돌봄센터 ‘꿈낭’은 전국 늘봄학교 우수사례로 선정됐으며, 마을 단위에서 아이를 함께 돌보는 ‘마을 키움터’는 새로운 공동체 돌봄 모델로 확산 중이다.
또한 학교안전경찰관제를 도입해 학교폭력 예방과 학생 안전망을 강화한 점은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이번 성과의 가장 큰 특징은, 도와 교육청이 단순한 협력 관계를 넘어 정책 동반자 체계로 진화했다는 점이다.
오영훈 도지사는 “교육이 지역을 살리는 원동력임을 다시금 증명했다”며 “청년이 머무는 제주를 만들기 위해 도정의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광수 교육감 역시 “이번 A등급은 교육청과 지자체가 함께 만든 결실”이라며 “지역협력 기반의 교육혁신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두 기관은 올해 성과를 기반으로 돌봄 사각지대 해소, 지역 인재 육성, 학교 안전망 강화 등 제주형 혁신모델의 제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교육발전특구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담당하고, 교육청은 학교 현장의 정책 실행과 혁신 교육과정 운영을 맡으며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이번 성과는 행정과 교육이 함께 그려낸 단순한 정책이 아니라 사람이 머무는 제주, 배우며 사는 지역사회라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면서 전국이 주목하는 제주형 교육자치 모델로 우뚝 섰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