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보호 최우선" 제주도, 태풍·집중호우 대비 체계 점검
제주도, 취약계층 대피 지원·재난문자 강화 “도민 행동요령 숙지가 피해 최소화의 핵심”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제주도는 가을철 태풍과 집중호우에 대비해 13개 협업기능 실국별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도·행정시·재난관리책임기관·민간단체 간 협업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10일 오후 2시 진명기 행정부지사 주재로 ‘가을철 태풍·집중호우 대비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도와 행정시 관련 부서를 비롯해 해병대 제9여단, 제주경찰청,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제주지방기상청, 한국전력 등 관계기관과 지역자율방재단·의용소방대연합회 등이 참석해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도는 인명보호를 최우선으로 안전대책을 추진한다. 태풍 북상 시 해안가 등 위험지역에 대해 사전 대피 권고를 내리고, 올레순찰대 614명을 활용해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 대한 사전 통제와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특히 자력 대피가 어려운 취약계층 240명을 대상으로 대피조력자 414명을 매칭해 위험 발생 시 신속한 대피를 돕도록 했다.
또한 재난안전대책본부 누리집을 통해 재해정보지도(대피장소·행동요령) 홍보를 강화하고, 재난문자·모바일 재난방송서비스·재난 예경보시설 등을 총동원해 빈틈없는 재난정보 전달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자체 재난문자(알림톡), 긴급재난문자(CBS), 자동음성통보시스템(280개소), 재해문자전광판(13개소) 등이 활용된다.
아울러 태풍 예비특보 발표 시점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1단계를 가동해 선제적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진명기 행정부지사는 “과거 가을철 태풍이 제주지역에 큰 피해를 준 만큼, 철저한 준비와 만반의 대비로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도민들도 행동요령을 숙지하고 함께 실천하는 선제적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