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인공지능(AI), 실행 단계로 본격 도약
(서울 = 국제뉴스) 최윤제 기자 = 국방부가 기존 정책 논의 단계를 넘어 국방 인공지능(AI) 실행 단계로 본격 도약한다. 29일 국방부 차관 주관으로 열린 ‘국방 인공지능 회의’에서는 조직, 예산, 민군 협력 생태계를 갖춰 국방분야 AI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논의됐다.
이번 회의에는 국방부 자원관리실장, 전력정책국장, 합참 지휘통신부장, 육군·해·공군 정책·정보화기획 참모부장, 국방연구기관 부기관장 등 AI 관련 주요 관계자가 모두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2026년 AI 사업 계획, 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 실증계획, 민간기업의 국방데이터 접근성 개선 추진 현황 등이 보고됐다.
국방부는 지난 몇 년간 AI 거버넌스, 인프라, 환경·생태계 등 세 영역에서 혁신을 추진해왔다.
◎ 거버넌스 혁신: 국방 AI 업무를 총괄하는 조직을 ‘첨단전력기획관실’로 일원화하고, 공모형 민간 전문가를 임용하는 체계로 전환한다. 7월부터는 국방 AI TF를 통해 주요 이슈를 검토하고 현실적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 인프라 혁신: AI 관련 예산을 증액하고, 민간 첨단 AI 기술을 국방에 활용할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AX-Sprint), 군·산·학 협력센터 운영, AI 기반 CCTV 감시체계 구축, 국방 지능형 플랫폼 및 GPU 등 인프라 확충이 포함된다.
◎ 환경·생태계 혁신: 국방 데이터의 민간 활용성을 높이고, AI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 인재 발굴과 기술 실전 적용을 추진한다. 2025년 경진대회는 민·군 협력팀을 구성해 민간 AI 기술을 군에 전파하는 기회로 활용될 예정이다.
국방부는 단기적으로 행정업무 효율화를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AI 정책참모’와 ‘AI 전투참모’ 구축을 통해 의사결정과 무기체계 지능화를 강화할 계획이다.
국방부 차관은 “병역자원 부족 등 국방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는 절박한 심정으로 국방 인공지능 혁신에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방 AI는 정책 논의 단계에서 실행 단계로 본격 확장되며, 민·관·군 협력을 통한 과학기술 강군 실현을 목표로 추진 궤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