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다시 멈췄다… "제주도 형식만, 행정 불신"
환경자원순환센터 또 봉쇄…합의 한 달 만 갈등 재점화 "불법 쓰레기 반입 개선 요구" vs "센터 내 선별 가능" “불법 쓰레기 섞여 반입”… 행정 불신·약속 미 이행에 신뢰 바닥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주민들이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진입로를 또다시 봉쇄하며 지역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달 11일 제주도와 극적으로 합의해 봉쇄를 해제한 지 한 달 만에 재점화된 이번 갈등의 핵심은 바로 쓰레기 수거 차량에 실린 폐기물 중 재활용품이 섞여 있는 등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과, 이에 대한 행정의 실질적 개선 조치가 미흡하다는 주민들의 불신 때문이다.
동복리 주민들로 구성된 시민감시단은 2일 오전부터 환경자원순환센터 앞에서 종량제 쓰레기 수거 차량의 진입을 막고, 봉투 내 재활용품 등 반입금지 품목이 섞여 있는지 직접 검사했다.
이 과정에서 쓰레기 운반차량 30여 대가 센터에 진입하지 못하고 되돌아가는 사태가 벌어졌다. 주민들은 "재활용품 등 불법 쓰레기가 일반 쓰레기와 섞여 소각로로 반입되고 있다"며, 행정 당국에 근본적인 개선책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마을이 수탁받아 운영하는 쓰레기선별장 인력 증원과 사업비 증액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점도 재봉쇄의 직접적 계기가 됐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종량제봉투에 재활용품이 일부 섞여 있어도 센터 내부에서 별도의 선별작업을 통해 걸러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쓰레기 반입이 차단되면 클린하우스마다 쓰레기가 쌓여 시민 불편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번 봉쇄는 지난달 7일부터 10일까지 이어졌던 1차 봉쇄 이후 한 달 만에 재발한 것이다. 당시 동복리 주민들은 농경지 폐열 지원사업 등 마을 지원사업 약속 미이행을 이유로 진입로를 막았고, 제주도와의 협상 끝에 센터 운영 정상화에 합의했었다.
제주도는 폐열지원사업의 경제성 부족을 들어 대체 마을 지원사업 추진을 약속했고, 상생협의체를 구성해 마을 발전사업을 논의하기로 했다.
그러나 주민들은 "행정이 약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불신을 드러냈고, 이번에는 불법 쓰레기 반입 문제를 전면에 내세워 봉쇄를 재개했다.
주민들은 "센터 운영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불법 쓰레기 반입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행정의 실질적 개선 노력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즉, 불법·부적정 쓰레기 반입 문제와 행정의 약속 미이행, 그리고 마을 지원사업 관련 갈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주민 신뢰 회복 없는 행정 대응이 반복 봉쇄 사태를 불러온 것이다
행정과 주민 간의 갈등은 주민 신뢰 회복과 약속 이행, 그리고 투명한 쓰레기 처리 시스템 마련 없이는 쉽게 해소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당분간 쓰레기 반입 문제를 둘러싼 대립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