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에티오피아-국가물산업클러스터 등 5자 MOU 체결...아프리카 물시장 진출

2024-11-28     백운용 기자
(좌측부터) 차다비드 사단법인 이디오피아벳 이사장, 정해관 대구시 국제관계대사, 헬렌 데베베 볼데기오르기스 에티오피아 도시인프라개발부 국무장관, 이제원 한국환경공단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사업단장서성수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협의회장(사진제공=대구시청)

(대구=국제뉴스) 백운용 기자 = 정해관 국제관계대사는 "대구광역시-에티오피아-국가물산업클러스터 등 5자 MOU를 체결하고 시장잠재력 높은 아프리카 물시장 진출 초석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 에티오피아, 한국환경공단(국가물산업클러스터 사업단),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협의회, ㈔이디오피아벳과 함께 물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28일 달성군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서 체결하였다."고 전했다.

대구시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를 달성군에 유치하면서 우수한 물기업을 유치하고 물기술 개발 및 사업화, 판로개척 등 전방위로 물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미 포화상태인 국내 물시장을 넘어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대구시는 "그간 미국, 일본, 프랑스, 네덜란드 등 선진국과의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시장잠재력이 큰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 정부 및 물산업 공공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 물기업과 함께 물산업 전시회에 참가하는 등 물기업의 판로개척을 지원해 왔다."고 거듭 설명했다.

한편, 대구시는 "아프리카 39개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기관의 조사에서는 조사한 지역의 56%만이 상수도 시스템을, 31%만이 하수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2023년 아프리카 지속가능발전 보고서에 따르면, 4억 명 이상의 아프리카인이 안전한 식수를 공급받지 못하고 있어 아프리카는 동남아시아 못지않게 물산업 시장잠재력이 큰 지역이다."라고 밝혔다.

또 대구시는 "글로벌 기후 위기에 따른 물관리의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 대구시의 이번 협약체결로, 처음으로 아프리카 국가와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대구시는 "이번 협약체결에 따라 에티오피아는 자국 물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사업을 발굴 및 제안하고, 대구시는 지역 물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할 예정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대구시는 "한국환경공단이 국가물산업클러스터의 인프라 및 기술을 지원하여 국내 물기업과 함께 공동연구 및 협력사업에 참여할 예정이며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협의회는 협력사업에 적합한 물기업 추천 및 원활한 이행을 위한 지원을, 마지막으로 ㈔이디오피아벳은 협력사업에 필요한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paekti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