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광철, "청각장애인·농아인·난청인 맞춤별 지원복지책 마련" 강조
수화 못하는 청각장애인이 10명 중 8명, 훈련 및 지원 필요 청각장애인 위한 다중시설 음성 자막 동시통역 지원 시급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국민의힘 제주시갑 고광철 후보가 청각장애인과 농아인, 난청인 구분에 따른 맞춤별 지원복지책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고 후보는 28일 (사)대한난청협회 김재호 이사장, 제주도농아인협회 이승만 노인회장, 김용국 전 회장과 회원들을 만나 애로와 고충을 듣고 정책개선안 마련을 위한 시간을 가졌다.
고 후보는 " 해마다 난청 장애는 늘어나고 있고, 연령과 원인까지 다양해지고 있지만 난청인과 농아인, 청각장애인에 대한 이해도 및 복지정책은 아직도 피상적이라는 지적이 많다."며 "사회통념상 수화 사용자=청각장애인=농아’라는 인식이 팽배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고 후보는 "무엇보다도 수화를 못하는 청각장애인이 10명 중 8명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청각 장애인에 대한 복지 프레임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며 "현재 '중증 청각장애인'으로 분류된 농아인은 보청기나 인공 와우를 착용해도 거의 의사소통할 수 없기 때문에 수화·구화 등을 할 수 있도록 훈련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농아인은 수어를 1언어로 사용하고, 청각장애인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사람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며, 난청인은 청력이 저하되거나 손실된 상태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고 후보는 "경증 청각장애인'은 기계의 도움을 받으면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해 보청기나 인공 와우 지원이 절실하다"며 "인공 와우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치료 방법이지만 비용이 상당히 크다"고 비용 지원이 절실함을 강조했다.
또 "청각장애인이나 난청인은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기계 볼륨을 높일 수 없어 자막을 많이 보게 됨으로 청각장애인에게 음성 자막과 동시통역 지원이 가장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고 후보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복지 정책으로 "제주 지역 일부 공공장소에 일종의 공공용 보청 시스템인 ‘히어링 루프’와 '오디오 인덕션 루프'를 설치함으로써 편하게 공공장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약하고 ”청각장애인과 농아인, 난청인 구분에 각각 따른 맞춤별 지원을 통한 촘촘한 복지정책을 마련하겠다“며 지지를 호소했다.
이와 함께 고 후보는 ”농아인 노인 전용 쉼터 설치 등 돌봄 및 일상생활 지원확대, 정부와 도정이 공공영역의 수어 영상물에 대한 감수 강화를 지원하고, 농아인 분들을 위한 평생교육 지원체계 마련 및 기회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2417@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