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괴정5구역, 재개발 브로커 개입 의혹
(부산=국제뉴스) 조하연 기자 = 부산 사하구 괴정5구역 재개발조합은 의견이 분분한 조합원들의 배후에 이른바 '악성 브로커'가 개입해 있다는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주영록 괴정5구역 재개발위원장은 지난 19일 "악성 암덩어리 같은 브로커 조직이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며 "이들은 전국의 재개발 현장을 돌아다니며 조합을 해체시키고 집행부를 불신하게 해 주민들 간 반목과 분열을 조장한다"고 밝혔다.
주 위원장은 "어떻게 하면 주민들을 쥐고 흔들 수 있는지 너무 잘 아는 사람들"이라며 "현 집행부들을 해체시키고 자기들이 들어와 새로운 업체들을 선정하려 한다"고 했다.
이어 "철거, 해체, 셰시, 전주 등으로 구성된 브로커들은 4억~12억원원 이상의 돈을 투자해 현 집행부가 큰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것처럼 유튜브를 제작해 주민들을 회유하고, 그들의 신뢰감을 심어준다"고 주장했다. 10억원 이상의 돈을 투자하더라도, 주민들을 선동해 개발이익을 자신들쪽으로 돌리게 되면 수백억의 이익을 갖게 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주 위원장은 악성 브로커의 개입으로 인한 주민들의 분열로 사업의 지연을 우려했다.
실제 부산 우암동의 모 재개발 구역은 브로커 작업으로 집행부를 흔들어 지난 2년 동안 한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
아울러 주 위원장은 이러한 브로커들의 개입에는 권력자의 비호가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주 위원장에 따르면, 약 11년 동안 정리한 지역의 주소록과 연락처 등이 브로커들에게 넘어갔다. 또한 현 집행부를 음해하는 현수막은 버젓이 잘 걸려있지만, 괴정5구역 원주민들의 재개발 성공을 위한 현수막은 곧장 철거된다는 것이다. 이는 권력자의 비호가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주 위원장은 "재개발 현장에 판치는 악성 브로커 조직에 대해 검찰·경찰·국세청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 전수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괴정5구역 재개발 조합은 부산시 최초의 '생활권 시범마을조합'으로 선정, 조합설립부터 관리처분총회까지 불과 3년 6개월이 걸렸다. 현재 구청 인가만 남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