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제주컨벤션센터 비위행위 심각 "칼 꺼내드나"
도내 13개 출자·출연기관 대상 전방위적 행정사무조사 검토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제주국제컨벤션센터(이하 센터)는 제주도가 도민주 공모를 통해 18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건립한 제주를 대표하는 명실상부한 국제회의시설이다.
그러나 최근 채용비리, 직장내 갑질, 출퇴근 비리, 고용유지지원금 부정수급, 100억원 불합리한 쪼개기 수의 계약 등 총체적 부실이 드러났다.
이 같은 의혹의 정황들은 지난달 22일과 25일 열린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와 특별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수면위로 올라왔다.
제주도의회는 행정사무감사와 특별행정사무감사를 통해 쪼개기 발주로 100억원 수의계약을 체결한 정황, 채용비리, 직장내 괴롭힘 등 각종 비리 의혹들에 대한 날선 지적과 비판을 이어갔고, 도와 의회의 감시기능마저 무력화 시킨 점에 대해서는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을 예고했다.
제주문화예술재단 역시 최근 열린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출연 동의안 심사에서 매년 과다하게 지급되고 있는 문예재단 출연금 문제에 대해 지적 받았다.
특히 문예재단은 올해 76억원의 지원을 받고도 도내 출자·출연기관 경영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그런데 또 다시 내년에 125억원을 출자해 달라고 해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진 것.
이처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와 함께 제주문화예술재단 등 도내 출자·출연기관은 반복되는 낙하산 인사 논란에 올해 말 기준 예산 집행률도 50%대를 보이며 제 역할을 못 한다는 도민 사회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도의회가 처음으로 도내 출자·출연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전방위적 행정사무조사 검토에 나서면서 실제 조사로 이어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좌남수 제주도의회 의장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의 실태를 보면 너무 지나치다"라며 "의회가 직접 나서 모든 도내 출자·출연기관에 대해 확실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의회는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행정사무조사권을 발동하는 방안과 외부 전문가와 함께 감사하는 안 등을 모색 중이며 다음 회기 안에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행정사무조사는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서명을 받아 본회의에서 가결되면 조사권이 발동된다.
한편 최근 10년간 제주도의회가 행정사무조사에 나선 것은 지난 2011년 해군기지 기본협약서 이중 작성과 2018년 대규모 개발사업 관련이 전부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