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여니갤러리

▲ '밥' 91X116.8cm 장지에혼합재료 2018

(서울=국제뉴스) 하명남 기자 "She Bop: 그녀가 밥을 한다", "밥은 하늘이고, 서로 나눠 먹는 것이고, 여럿이 같이 먹는 것이고, 밥이 입으로 들어갈 때에 하늘을 몸 속에 모시는 것이다"라고 한때 시인 김지하는 노래했다.

"그녀가 밥을 한다"는 우리 말은 이렇게 숭고하고 절절한 사연이 있지만, 신디 로퍼의 She Bop은 그녀가 스스로 쾌감을 느낀다는 의미가 있다.

서양인에게 밥 공기에 수북이 담긴 밥이 낯선 것과는 달리 "쉬밥 히밥 아 위밥 아이밥 유밥 아 데이밥(She Bop He Bop & We Bop I Bop U Bop & They Bop)"하는 신디로퍼의 가사에 우리는 뜻도 모르고 흥얼거리지만 그래도 이 곡은 우리에게 친근하다. 밥이 있기 때문이다.

임영숙은 이렇게 이방인에게는 낯설지만 한국인에겐 친숙하고 숭고하고 절절한 의미를 가지는 밥이라는 소재를 변주한다.  그녀의 변주는 초현실주의적이기도 하다. 밥에서 꽃이 만발하는가 하면, 밥에 산수화가 놓여지기도 하고, 밥을 자양분으로 나무가 자라 올라오기도 한다.유기물과 무기물을 어울려 놓은 작품을 보면서 관객은 어떤 낯 섬을 느끼게 되면서 밥의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조선 백자와 같은 하얀 밥그릇에 수북히 담긴 밥알들, 이들과 어우러지는 산과 들, 나무와 꽃, 그리고 심지어 집은 르네 마그리트나 달리의 그림을 보는 듯한 비현실성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그 초현실성에서 나오는 아름다움을 자아낸다. 

임영숙 작가의 다양한 작품을 보면, 밥그릇은 스스로 캔버스의 역할을 하기도 하다가, 캔버스에 들어가는 소품이 되고, 어떤 때는 밥그릇이 사라져서 밥알 자체가 여백을 채우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밥 산수화에서 밥은 땅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임영숙은 밥을 자유 자재로 다룬다. 그리고 그 밥알들은 그 자체로 그녀의 낙관이 되어, 관객과 수집가들에게 각인된다. 

한국인이 아닌 이방인들이 임영숙 작가의 작품들을 보면 어떤 느낌일까? 우선 이 작품들은 단번에 Korea, 조선 반도의 작품임을 알아차리게 할 것이다. 쌀은 한중일, 인도 등 아시아, 그리고 전세계가 공유하는 것이지만, 수북히 담아서 다 먹기도 힘들 정도로 밥이 꽉꽉 채워진 밥공기는 밥이 있으면 먹어야 했던, 늘 주리게 살았던 이땅의 민중을 상징하기도 때문이다. 서양인들이 구한말에 한국에 와서 받은 인상중의 하나는 이 땅의 사람들이 한번에 참 많이도 먹었다는 것이다. 음식이 있을때 실컷 먹어둬야 보릿고개를 넘을 수 있다. 이렇게 밥은 이 반도사람들의 삶을 표상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임영숙 작가의 작업은 밥으로 한국을 표현하는 한국화의 전형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고 까지 이야기할 수 있다. 

임영숙 작가의 전시는 여니갤러리(서울 합정동)에서 10월2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된다.

▲ '밥' 72.7X60.6cm 장지에혼합재료 2015

 

임영숙 Lim, Young Suk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 및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동아미술제 특선(1990), MBC미술대전 장려상 (예술의 전당,1991)

개인전 20회(1990-2018)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