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국제뉴스) 박종진 기자 = 서울시는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으로 지정된 지역들의 주택 거래가격 증감율과 전체 주택거래가격 증감율을 주택유형별로 조사·분석한 결과,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 연관성은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사업으로 지정된 13개 지역 중 주택 거래건수가 부족한 일부 지역을 제외한 9개 지역(서울역, 창신숭인, 가리봉, 상도, 성수, 신촌, 암사, 장위, 해방촌 등)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시는 부동산 매매가격 분석을 위해 주택실거래가 자료를, 건축인허가 분석을 위해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 건축인허가 데이터를 제공받아 각각 활용했다.

우선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 이후 3년 평균 지역 전체, 그리고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역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은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 아파트 모든 유형에서 8%로 나타나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역의 평균 주택매매가격 증가율과 유사했다.

또한,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가격 증가율과 그 구역이 속한 자치구의 전체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유사하거나 일부 유형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 성수, 신촌 등 일부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은 지역자체의 여건과 상승요인으로 일부 주택 유형의 매매가격 증가율 및 ㎡당 가격이 해당 자치구보다 높았다.

한편, 동기간 강남4구의 재건축 아파트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인 8%보다 높은 12.4%로 조사됐다.

이는 시민들이 강남권의 아파트를 여전히 선호하고, 도시재생활성화사업 보다는 재건축과 같은 행위가 주택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고 현재까지도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가 여전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과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 나가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