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큰 지진이 발생할지 장담 못한다.

(양산=국제뉴스) 박영헌 기자 = 지난 9월 12일 오후 8시경 경주에서 발생한 진도 5.8의 지진에 이어 19일 또 다시 4.5강도의 여진이 발생했다. 20일 오후 8시3분경에는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8㎞ 지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지난 12일 이후 경주 지역에서만 423회가 넘는 여진이 일어났다.

국민안전처는 전국적으로 119에 지진 신고를 접수한 건수가 1만 1381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발생지역에 위치한 양산단층은 경상북도 영덕군을 시작으로 경주를 거쳐 부산시 낙동강 하구까지 최장길이 170km로 이어진 활성단층으로서, 단층의 나이가 비교적 적어 향 후 활동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추정된다. 이번 경주 지진을 통해 더이상 한반도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양산단층대 주변지역은 부산 기장군 소재의 고리·신고리원전, 경북 월성군 소재의 월성·신월성원전이 위치해 있으며, 신고리 5,6호기가 울산 울주군 소재에 신설될 예정이다.

경주.울산.양산.부산 등에 위치한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활성단층대가 활동을 시작한 상태에서 응력 해소가 되지 못한 상황이 계속되면 앞으로 더 큰 지진이 일어날수도 있다는 의미다.

   
▲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 들어설 신고리 5·6호기 조감도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국토교통부는 원전의 경우 규모 6.5에 맞춰져 내진 설계가 되어 있다고 밝혔으나,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홍태경교수에 따르면 "한반도에서도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은 규모 7.0 정도로 판단되며, 더욱더 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원전에 피해가 없을지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반면 한국수력원자력은 "19일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4.5 여진 관련, 원전 운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국내 원전은 발전소 아래 지점에서 발생하는 규모 6.5∼7.0까지 견딜 수 있도록 내진 설계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부 정치권을 비롯 시민단체와 환경단체에서는 반발이 거세다.

더민주 부산시당은 20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신고리 5·6호기는 건설허가 단계에서 지진 위험성과 다수 호기의 안전성 평가가 배제됐다"라고 밝혔으며,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에 따르면 "원전 건설허가의 요건인 중대사고 영향 평가를 하지 않고, 인구밀집지역 위치제한규정을 위반, 핵연료 저장조의 위험성도 제대로 평가 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탈핵양산시민행동에서는 20일 양산시청 프레스센터를 통해 "노후 원전 즉각 폐쇄, 신고리 5·6호기 건설 철회, 원전 확대 정책 포기 및 재생에너지 확대정책 도입, 지자체 및 시의회의 재난에 대비한 긴급대책을 즉각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안전점검을 하든 내진설계 보강을 하든 지금 당장 양산단층 일대의가동중인 원전을 즉각 정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있다.

탈핵양산시민행동 단체가 양산시청프레스센터에서 원전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현재 고리원전에서 1,3,4,신1호기는 정상운전중이며 2,신2호기는 계획예방정비로 인해 일시정지된 상태이다. 월성원전의 경우 원전 정지기준인 지진 분석값 0.1g을 초과하여 1~4호기를 수동정지한 상태이며 신1,2호기는 현재 정상운전중인 상태이다.

하지만 2013년 대한민국 원자력발전소의 부품 납품과정 중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품질미달 부품들이 수년간 한국수력원자력에 납품되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뉴욕타임스는 이를 두고 "공급업체와 시험기관 간의 유착 구조는 마피아 수준"이라고 보도했다,

하인리히의 법칙에 따르면 한 번의 대형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29번의 작은사고와 300번의 사소한 징후가 있다고 한다. 이번 경주지진이 대형사고에 대한 징후는 아닌지 의문이 남는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