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중요한 득표 전략은 ‘믿음’, 그것이 ‘미션’”
이달곤 “중도층 공략으로 남해안 시대 마중물 삼을 터”

(경남=국제뉴스) 오웅근 기자= “15만 넘는 실업자를 간과할 수 없다. 기업과 근로자 노동조합, 3자가 힘을 합쳐 일자리를 늘리는 일이 시급하다”
국민의힘 이달곤 경남도위원장이 17일 오후 가진 초청간담회 자리에서 한 말이다. 그는 선거를 맞아 경남의 각 정당 위원장들을 초치한 간담회의 두 번째 방문객이다.
어떻게 일자리를 확보할 지를 묻자 “지금까지 기업이 산업화시기에 누렸던 혜택을 고용을 늘리며 환원하는 방식을 고민해 보는 것도 그 일환이 될 수 있다”며 “함께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것도 사화공헌”이라고 제안했다.
▲득표 전략은 ‘믿음’
이 위원장은 가장 중요한 득표 전략이 ‘믿음’ 이라며, 그 것이 지금 모든 정치인에게 주어진 최대 ‘미션’이라는 정의를 내렸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논란이 된 윤 후보 측의 임명장 남발 의혹과 관련해 “선거조직에 소요될 인력을 급하게 선정, 임명하는 과정에 여러 사람의 추천을 반영하면서 실수 또는 혼선을 빚은 것으로 짐작된다”며 몸을 낮췄다.
▲균형발전 위한 광역협의체 공감
또한 최근 일각에서 ‘부울경 메가시티’를 특화 하려는 음직임에 대해 “아직은 특별자치단체도 아니고 정책도 나오지 않은 이름만 부여된 상황”이라며 “연구, 기획한 것을 확정, 집행하기 위한 비전과 권한을 갖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소위 부울경 메가시티와 같이 대구∙경북과 광주∙전남 등을 묶는 광역협의체가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선순환 도로망과 플랫폼 정부
나아가 수돗물, 환경문제, 낙동강 관리뿐만 아니라 국민의힘이 지향하는 목포에서 광주, 여수, 진주, 창원, 진해, 부산을 일주하는 도로망 확보에 의한 선순환 구조를 꿈꿨다.
뿐만 아니라 “상수원 보호와 그린벨트 해제, 항만 및 우주항공산업 육성, 문화기능 확대, 그리고 실용적인 플랫폼 정부를 조성하는 일 등 청사진을 그렸다.

▲핵심공약
이 위원장은 윤석열 후보의 핵심공약을 묻자 “대학 주변에 대학생들이 졸업 후 귀가할 수 있는 집과 창업 또는 문화공간이 될 타운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말해 언뜻 비현실적인 공약처럼 들렸다.
그러나 그가 “창원시 진해구의 경우 옛 육군대학 부지를 스마트시티로 만들어 안전, 교통, 폐기물 처리, 질병관리 등이 자동으로 이뤄지는. 도시 속의 ‘청년빌’을 조성, 주거 직장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꾸며지고 있다”고 말해 현실과 괴리되지 않았다.
게다가 창원을 중심으로 R&D사업을 구축해 나가되 진해구에 재료 연구원과 함께 소형 선박 R&D를 조성하고. 대학과 정부, 기업과의 공조에 의해 전기와 수소경제를 육성하며, 서부 경남일원에 강소농을 구축하는 일 등 경남의 미래먹거리를 설계하고 있었다.
더욱이 그는 “가장 소중한 것이 문화다. 메타버스 등 각종 콘텐츠를 개발하는 일도 중요하다.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창안하도록 권유하고 싶다 중앙정부의 개발 지원금이 년 4천억이 있다”는 소개를 빠뜨리지 않았다.
▲특례시가 된 마창진, 그 통합 후유증
이 위원장은 과거 마창진을 통합한 주무부처인 행안부 장관이었다. 그 덕분에 십년이 넘도록 온갖 욕설과 원망을 들어야 했으나 흐르는 세월 속에 그 유효함이 입증되면서 차츰 줄어들기 시작했다고 회고했다.
이 위원장은 “일본이나 영국에서는 기초단체 통합이 있었으나 세계적인 사례도 많지 않고 국내 최초 사례란 점에서 눈총을 피할 수 없었다.”며 “이를 바탕으로 새만금을 광역으로, 제주도를 특화시키는 구상에 이르도록 안목이 넓어진 면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 때 ‘언론중재법’을 온몸으로 막은 사람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왜 그랬느냐”고 묻자 “언론이 말하고 싶은 자유를 억제해선 안 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대선과 지방선거를 가르는 협곡
요즘 대선정국으로 한참 밀려난 듯한 지방선거의 전략에 대해 묻자 “3월 9일 대선 투표하고 3월 10일 개표가 끝나면 6월 1일 지방선거까지 두 달 보름 정도가 남는다”면서 날짜 계산은 꼼꼼히 해놓고 있었다.
그러면서 “정치가 너무 과열되거나 코로나 때문에 위험할까 우려된다. 그러나 우리가 만든 공약은 지방 공약과 대선 공약에 동시 적용되는 것이기에 대선운동이 곧 지방선거 운동인 셈”이라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시, 군에서 절실하고 또 난해한 민원사업을 도 단위에서 검증하고, 또 이를 기초해 일의 경중을 가려서 대선공약으로 만들어 놓았다는 설명이다.
끝으로 이 위원장은 “당원들 모두가 중도층 집중공략으로 경남이 남해안 시대의 마중물이 되도록 노력해 줘 고밉다”며 “선거를 통해 우리가 하나가 돼야 할 이유가 더욱 분명해졌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오웅근 기자
wgoh2010@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