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차례상 지방 쓰기 '고인 관계, 직위, 본관, 성씨' 등 나열법(사진=네이버 캡처)

추석을 맞아 지방(紙榜) 쓰는 법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를 의미한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일반적으로 폭 6㎝, 길이 22㎝ 정도가 적당하며, 붓이나 붓펜을 이용해 한자로 작성한다. 최근에는 한글로 쓰기도 한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 자를 쓰고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고인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神位) 순으로 쓴다

먼저 제사를 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인다.

이 다음에는 벼슬을 지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면 된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 적는다.

벼슬 뒤에는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는다. 그리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를 붙이면 된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