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박세필 교수 연구진, 유전자·육질 분석 ‘제주흑우’ 품종 표기 확립
유통·소비단계서 한우로만 표기…제주흑우 산업 지속 발전 기대

박세필 교수는 지난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흑우 최종 관리 단계인 유통 단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
박세필 교수는 지난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흑우 최종 관리 단계인 유통 단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

(제주=국제뉴스) 문서현 기자 = 나라의 주요 제사 때 제향품으로 귀한 대접을 받았다가 일제강점기 때 일제의 수탈과 말살정책에 억압된 아픈 역사를 가진 ‘제주흑우’가 82년만에 진위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병석)은 제주대학교 분자생명공학부 박세필 교수 연구진이  제주흑우 최종 관리 단계인 유통 단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흑우는 유통-소비단계에서 별도의 표기가 없었는데 이번 제도개선으로 지난 9월부터 소도체 등급판정결과 제주흑우를 표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번 제도 개선으로 생산자와 유통업자는 전산화된 거래증명종합포털을 통해 ‘제주흑우’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소비자도 제주흑우를 살때 품종과 등급판정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진짜 제주흑우 논란이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게 된 것.

그동안 제주흑우는 도축 때 ‘제주흑우’로 도축증명서에 표기됐지만, 유통·소비 단계에서 중요한 등급판정확인서에는 단순히 ‘한우’나 ‘육우’로 표기돼 왔다.

이번 제도개선으로 인해 제주 흑우가 유통개선 뿐만 아니라 품질향상 등 제주흑우 산업의 지속발전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흑우
제주흑우

제주흑우는 고려, 조선시대 삼명일(임금생일, 정월 초하루, 동 지)에 정규 진상품으로, 나라의 주요 제사 때 제향품으로 귀한 대접을 받아왔으나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의 수탈과 말살정책 에 억압된 아픈 흑역사를 갖고 있다.

1938년 일본이 한우표준법을 제정하여 일본 소는 흑색, 한국 소는 적갈색(황색)을 표준으로 한다는 모색통일 심사규정을 제정함에 따라 제주흑우는 고유한 지위를 상실하게 됐다.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육량위주 소 산업 정책으로 몸집이 작고 육량이 적은 제주흑우는 도태위기에 처했으나, 제주흑 우가 2004년 FAO(국제식량농업기구) 한우 품종의 한 계통 (한우, 칡소, 내륙흑우, 백우 및 제주흑우)으로 공식 등록되 어 명맥을 유지하는 계기가 됐다.

이에 박세필 교수 연구진은 지금까지  제주흑우가  생산·도축 단계에서는 일반한우와 구분 표기되지만 유통-소비 단계에서는 별도의 표기가 없어 일반 한우제품과 구분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올해 9월부터 축산품질 평가원은   ‘소도체 등급판정결과’서에 ‘제주흑우’를 표기하도록 관련 제도를 재정비하였고, 흑우농가 및 축산관련기관 등으로 부터 제주 흑우가 80여년 만에 가치를 인정받는 결과를 이끌어 냈다.

박세필 교수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지원으로 제주대 제주흑우연구센터가 출범한 이후 제주흑우 표기의 일관성이 관련 산업 발전에 필요하다고 판단해 유전자와 육질 분석 등 연구를 진행했고, 관계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소비·유통 단계에 흑우 품종으로 표기되도록 개선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교수는 “제주흑우가 일제 강점기 흑우에서 제외된 지 82년 만에 그 가치를 최종적으로 완벽하게 인정받았다”며 “제주흑우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져 소비가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같은 박세필 교수의 끈질긴 노력의 성과로 그동안 소비자와 판매자간 지속적인 논쟁 꺼리였던 제주흑우가 당당하게 그 이름을 되찾게 됐다.

민영뉴스통신사 국제뉴스/start-to@hanmail.net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