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제공 다음
자료제공 다음

추석 명절을 맞아 지방쓰는 법에 대해 관심이 높다.

먼저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를 말하며 지방은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의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지방은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祭主, 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고인의 자리(神位, 신위)의 순서로 적는 것이 원칙이며,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 부모 지방 쓰는 방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아버지일 경우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여기서 '顯(현)'은 존경의 의미를 나타내며, '考(고)'는 '아버지'라는 뜻으로 제주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는 고인의 직위를 적는데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으로, 여성은 '孺人(유인)'으로 적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어 '府君(부군)'은 고인의 이름 대신 적는 것으로, 고인이 제주보다 윗사람임을 뜻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쓰이는 '神位(신위)'는 고인의 자리라는 의미가 담겨있다.

마찬가지로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어머니일 경우 '顯妣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으면 된다. 첫번째로 쓰이는 '顯(현)'은 존경의 의미이며, '妣(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뜻한다. 또한 고인의 직위는 여성일 경우 '孺人(유인)'으로 통일해 적는다.

마지막으로 고인의 이름에는 어머니의 본관과 성씨를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으면 된다.

▲ 남편/처 지방 쓰는 법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남편이라면 아버지를 뜻하는 '考(고)' 대신 임금 '辟(벽)'을 넣어 '顯辟學生府君神位(현벽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남편은 존경의 의미인 '顯(현)'과 남편을 의미하는 '辟(벽)'을 적어 '顯辟(현벽)'이라고 쓰면 되고, 고인이 제주의 아내라면, '顯(현)' 대신 죽은 사람을 뜻하는 '故(고)'와 아내를 의미하는 '室(실)'을 넣어 '故室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으면 된다.

또한 고인의 직위를 적을 때는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 여성은 '孺人(유인)'으로 쓰며, 고인의 이름을 적을 때는 남자 조상은 '府君(부군)'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본관과 성씨를 쓰며 동생이나 자식의 경우에는 이름은 쓰면된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