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당 개인소득은 실질적인 시민들의 생활수준

▲ 2017년 시도별 GRI/GRDP 비율

(대구=국제뉴스) 백운용 기자 = 통계청이 최근 공표한 2017년 지역소득통계를 생산(1인당 지역내총생산) 외에도 소득(1인당 개인소득), 소비(1인당 민간소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 대구시(시장 권영진) 경제의 긍정적 시그널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부각됐던 지역내총생산과 더불어 지역소득 측면에서 지역경제를 들여다보는 것은 실질적인 지역민의 삶의 질을 살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국가적으로도 생산 측면의 국내총생산(GDP)이 국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통계청에서 2014년 6월부터 '국민의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해 발표하고 있다.

이 지표는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를 포함한 11개 영역에 총 71개지표로 구성되는데, 소득과 소비, 자산에 초점을 맞춰 생산 측면인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신 소득 측면인 1인당 국민총소득(GNI)가 지표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최신 행정자료와 추계기법을 활용해 2015년 기준연도 개편결과와 함께 통계청에서 공표한 2017년 지역소득통계 확정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대구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은 여전히 시도순위 최하위에 머물렀으나, 생산 측면 외 분배(소득), 소비 측면은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지역소득통계는 특정 지역이 1년 동안 경제활동으로 만들어낸 부가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것으로, 생산, 분배(소득), 소비 3가지 측면에서 지역의 경제 상태를 보여준다.

개편결과에 따르면 대구시 소득통계의 특징으로 두 가지가 가장 눈에 띈다. 첫째, 지역내총생산(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규모가 58.4조원, 지역총소득(GRI: Gross Regional Income)이 65.3조원으로 지역내 총생산 대비 지역총소득 비율이(GRI/GRDP×100) 119로 시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지역내총생산보다 지역총소득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 내의 총생산액에 지역 외에서 발생한 부가가치가 더해져서 소득을 증가시킨데 기인한 것이다.

둘째, 1인당 개인소득이 18,350천원으로 시도 순위 7위를 기록해 최하위권인 1인당 지역내총생산(22,310천원)에 비해 아주 양호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1인당 민간소비지출(16.8백만원)도 전국평균(17백만원) 수준(99.0%)으로 시도순위 6위를 나타내 마찬가지로 괜찮은 수준이다.

생산대비 1인당 개인소득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지역 외 순소득의 구성내역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2017년 지역 외 순소득의 구성을 보면 임금 등 근로소득이 5.8조원(55.6%)으로 가장 많고, 재산소득 2.9조원(28.1%), 영업잉여 1.7조원(16.3%)으로 추정되고 있다.

즉, 유입된 소득의 대부분(약 80.5%)이 근로소득과 재산소득으로 개인부문의 증가에 기여했고 이로 인해 1인당 개인소득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난 것이다.

또 하나 특이한 점은 2017년 기준 대구지역의 재산소득 유입규모가 2.9조원으로 전체 시도의 재산소득 유입규모 합계액(8.8조원) 대비 33.2%를 차지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은 최근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며 2015년부터는 부산의 1인당 개인소득보다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는 교육, 의료, 문화 등 정주여건이 좋은 대구에 살면서 인근지역으로 통근하는 직주불일치 현상과 타 지역 보유 자산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인구총조사(통계청) 결과에 따르면 취업인구 중 다른 시도로 통근하는 인구비중이 '10년 11.4%(118천명)에서 '15년 12.0%(130천명)으로 늘어났고, 대구 거주자가 관외에 소유하고 있는 토지보유 면적도 '12년 105㎢에서 '17년 115㎢으로 증가하고 있다.

1인당 개인소득은 대구 경제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경제지표로서 매우 중요하다. 1인당 개인소득이 실질적인 시민들의 삶의 질 제고, 즉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생활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역내에서의 생산활동 뿐만 아니라 역외에서 이루어지는 시민들의 다양한 소득활동이 개인소득의 증가에 기여하고 있고 이것이 대구 경제구조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오늘날과 같이 지역 간 이동, 교류가 많은 사회에서 낮은 생산이 반드시 낮은 경제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대구경북 협력사업 추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역소득을 증가시켜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아 전통 주력산업 지원과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 등을 통해 취약한 생산기반을 강화해 생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