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방보훈청 복지과장 문월순

▲ 광주지방보훈청 복지과장 문월순

"청렴은 밝음을 낳나니 사람이 그 마음을 숨기지 못할 것이요, 청렴함은 위엄을 낳나니 백성들이 모두 명령을 따르지 않을 수 없을 것이요, 청렴함은 곧 강직하게 되니 상관이 감히 가벼이 보지 않을 것이다"

옛날 중국 절강성의 한 현령이 재상 부구옹에게 고을 다스리는 법을 물었을 때, 세 번의 재차 물음에 모두 청렴할 염(廉)을 답하며 했던 말이다. 이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인물인 다산 정약용이 영암군수로 부임한 이종영에게 보낸 편지에 담겨있는 이야기다.

오늘날에도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소위 말하는 김영란법이 시행되고 용기 있는 내부 고발자들이 그들이 속한 기관의 비리와 부정부패에 대해 고발하는 등 부패에 맞서는 일련의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하루가 멀다 하고 언론에서는 부정부패 기사가 끊이지 않는 것을 보니, 고을을 다스리는 것만큼 청렴하기 어려운 것이 옛이야기만은 아닌가 보다.

국제 투명성기구에서 발표한 2018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에서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57점으로 180여개 국 중에서 45위를 마크했다. 2016년에는 53점에 52위를 차지하여 부패인식지수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악의 순위를 기록하였고 2017년에는 54점에 51위로 유의미한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했는데 이번에는 비교적 큰 폭의 상승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전반적인 부패수준에 대해서 개선되는 추세가 확인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무엇보다 10년 전인 2008년 우리나라의 순위가 39위였다는 점에서 청렴도 영역에서 우리가 그동안 얼마나 뒷걸음질 쳐왔고 아직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 부끄러운 수준이었던 우리나라의 인식이 이제 겨우 회복기에 들어섰을 뿐이다.

역사적으로 한 국가의 망조에는 언제나 관리들의 비리와 부패가 있었다. 이 사회가 유독 공직자에게 민간 수준 이상의 청렴도를 요하는 것은 역사적인 학습의 산물이며, 또한 그것이 과거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이님을 우리는 국정농단 등의 사태를 보면서 느낄 수 있다. 여전히 청렴의 힘은 기관과 사회를 넘어 국가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가 제1국정과제로 적폐청산과, 반부패개혁으로 '청렴 대한민국'을 위해 노력한지 어느덧 2년여가 지났지만 여전히 이 사회에서 부정부패와 비리가 자행되고 있는 것은 진정한 청렴은 제도적으로만 통제할 수 없는 일이며 공직자 스스로 수심하고 실천해야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즉, 공직자들이 청렴해야겠다고 다짐하는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청렴에서 밝음이 나오고 청렴이 위엄을 낳고 청렴이 강직함을 만든다는 앞서 인용한 이야기가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도 유효함을 잊지 않고 청렴을 위해 더욱 정진하는 대한민국이 되기를 바라본다.

                                                                       

저작권자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